기업은행장 인선을 둘러싸고 잡음을 일으킨 지 일주일 만인 지난 28일. 청와대는 이날 오후 2명의 고위직 인사를 단행했다. 대통령직 인수위가 인사를 자제해달라며 보낸 공문의 잉크가 채 마르지도 않은 상황이었다. 인사 시기야 인수위가 큰 틀에서 양해를 했다고 하기에 그렇다 해도 인선 내용을 보면서 기자는 씁쓰레한 기분을 떨칠 수가 없었다.
노무현 대통령은 이날 공석 중인 감사원 감사위원에 자신의 경제보좌관을 낙점했다. 보좌관으로 들어온 지 다섯 달 만에, 그것도 대통령 임기가 두 달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임기 4년의 차관급으로 또 옮기게 됐으니 그로선 이만한 홍복(洪福)도 없을 게다. 이쯤 되면 청와대에 몸만 담가도 앞길이 열린다는 말이 무색하지 않다.
대통령은 또 장관 자리에 버금간다는 중앙선거관리위원에 사시 동기이자 자신을 주축으로 한 사법연수원 친목모임인 ‘8인회’ 멤버 중 한 사람을 간택했다. 임기 말까지 측근을 챙기는 대통령의 모습이 측은하기까지 하다.
이뿐인가. 지금의 청와대는 제 식구에게는 정말 대단한 애정을 지닌 듯하다. 기업은행장 인선과 맞물려 이뤄진 금융감독위원회 부위원장 인사. 노 대통령은 이 자리에 금융정책의 경험이 적은 경제비서관을 승진시켰다. 항상 강조하던 적재 적소의 인사원칙은 도통 찾기 힘들다. 하기는 기업은행 인선에서 익히 드러났듯 청와대 인사의 가장 큰 ‘원칙(?)’이 대통령에 대한 충성도인 점을 감안하면 마냥 나무라기도 그렇기는 하다.
설령 그래도 청와대의 임기 말 인사는 너무 고약하다. 취임 초 노 대통령이 ‘검사와의 대화’에서 말해 아직까지 회자되는 “이쯤 되면 막하자는 거죠”라는 말이 생각날 정도다. 대통령이야 미안한 마음에 그렇다손 치더라도 인사 당사자들도 참 너무 한다. 임기가 얼마나 남았다고 그토록 자리를 챙겨야 직성이 풀린단 말인가. 대선을 보면서 국민의 시선이 얼마나 따가운지를 아직도 느끼지 못한단 말인가. 참여정부의 성과를 평가받겠다면서 임기 두 달을 남기고 총선 현장으로 떠난 청와대 핵심 수석들의 앞날이 궁금하다.
<저작권자 ⓒ 한국아이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