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 유
뜨거운 사랑을 해놓고 자신은 뜨거운 사람이 아니란다. 아니, 뜨거운 사람을 만나면 슬그머니 피한단다. 달달한 드라마‘커피프린스 1호점’(2007)으로 스타덤에 오른 지 벌써 10년이 다 돼서일까, 어느덧 30대 후반으로 접어든 공유(37)는 스스럼없이 자신을 ‘중간 온도’의 사람이라고 규정했다.
덜 열정적인 배우로 보일 수 있으니 온도를 감출 법도 한데, 대중의 시선에서 다소 자유로워진 모양이다. 신인시절부터 존경하고 동경하던 전도연(43)에 대해서는 “평소라면 피해다녔을 사람”이라고 했다. 자신과 달리 너무나 뜨거운 사람이라는 이유에서다. “나랑 성격이 다르다. 난 나와 반대되는 성향의 사람을 힘들어한다. 난 미적지근한데 전도연은 뜨겁다. 난 뜨거운 사람을 피한다. 옆에 있으면 데일 거 같다.” 하지만 영화 ‘남과 여’(감독 이윤기)에 출연한 결정적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그 뜨거운 ‘멜로의 여왕’ 전도연 때문이다.
“전도연 선배가 ‘무뢰한’(2015)같은 영화에서 상대를 바라보는 눈빛이 내게는 매우 강렬했다. 실제로 밀착해 호흡해보고 싶었다. 또내가 19금 멜로를 해 본 적이 없어서 신뢰할 수 있는 여배우가 필요했다. 솔직히 전도연 아니었으면이 영화 안 했을 것이다.” 데뷔 초기부터 우러르던 선배이기도 했다. 실제로 함께 해보니 “작업의 과정이 너무 좋았다”며 즐거워했다. “너무 섬세하다. 막연히 동물적 배우라고 생각했는데 이성적인 섬세함도 갖고 있더라. 그래서 질투가 났다. 나도 나름 디테일한배우라고 생각했는데 까불지 말아야겠다, 속으로 반성 많이 했다.” 그동안 다른 사람의 연기를 보면서 무릎을 딱 친 배우가 여자는전도연, 남자는 송강호(49)다. 송강호와 영화 ‘밀정’을 촬영 중인 공유는 “선물 같은 시간”이라고 비유했다. “이게 다 현실이라는 게 믿기지않는다”며 행복한 비명을 질렀다.
‘남과 여’는 자녀 문제로 핀란드에서 지내게 된 두 남녀가 서로를향한 강한 끌림에 몸을 섞고 이름도 모른 채 귀국하나 남자 기홍(공유)이 여자 상민(전도연)을 찾으면서 다시 불붙는 사랑을 그렸다. 기홍은 우울증에 걸린 철부지 아내와 ‘선택적 함묵증’을 앓고 있는 어린 딸을 둔 건축가로 자신처럼 삶이 녹록지 않은 상민에게서 묘한동질감을 느낀다.
첫 베드신이 단지 격정이 아닌위로로 다가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공유는“어른의 방식으로 한 위로”라며 “상민이 집중하지 못하자기홍이 잠시 멈추고 기다리는 그신이 나도 참 좋았다”고 했다.
이렇듯 ‘남과 여’의 설정은 불륜이나 두 배우의 설득력 있는 연기로 거부감이 적다. 여기에는 사회성 영화 ‘도가니’(2011)에 출연한 공유의 이력과 그의 강아지처럼 선량한 눈매가 한몫 한다. ‘화장’(2014)에서 직장 부하의 젊음을탐하던 안성기가 평소의 바른생활 이미지 때문에 인간적으로 이해되고 용납됐던 것처럼 공유 또한 비슷한 맥락이다.
반듯한 이미지 덕을 봤다는 지적에 공유는 “기분은 좋다”고 답했다. “그렇게 반듯하거나 착하진 않지만 많이 벗어나 있는 사람은 아니다”면서“튀는 거 별로 안 좋아한다”며 웃었다.
공유의 ‘적정온도 유지론’은 연기를 통한 희열로 이어졌다. “실생할의 공유는 인간의 체온이 유지되는 정도가 좋다. 하지만 연기할 때는 다르다. 실제 나를 외면할 수있어 연기할 때 느끼는 희열이 있다. 하지만 카메라 밖에서는 바로본래의 공유로 돌아온다.”
배우로서는 열려있지만 실제의삶에서는 다소 폐쇄적인 사람, 그게 공유라는 것이다. “상투적이나나이가 들면서 유연해졌다. 예전에는 내 마음이 뾰족했다. 기술적으로 연마된 체세술 덕분에 많이 좋아졌다. 예전에는 웃고 싶지 않은데 웃어야 하는 상황이 마치 내 자신을 속이는 거 같아 싫었다. 그런마음이 쌓이면 한번씩 터져 나왔다. 나이가 드니까 덜 터져 나온다.”
사람을 만날 때면 마음 속 경계심이 작동했었다. “일로 만나는 만남들이 불편함의 연속이었다. 그래서 내 속이 많이 썩었는데 이제 많이 단련됐다. 나 스스로 대견하다.”
이 영화에서 공유는 다년간 운동을 한 사람이 근육질 남자처럼안 보이게 살을 뺐을 때, 얼마나비주얼적인 등 근육이 만들어지는여실히 증명해보인다. 무엇보다 몸과 마음이 일치 안 된 그 남자의눈에 맺힌 눈물과 금방 울음이 터질 듯한 표정에서 기존에 우리가못 본 공유의 새로운 얼굴을 보여준다. 몇 가지 아쉬움에도 이 영화를 끝까지 보게 만드는 원동력은그 남자 공유 그리고 그 여자 전도연이다.
<뉴시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