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윌렛허브 조사, 35개 유통업체 평균 할인율 39%
▶ 메이시스 63.4% 가장 높아...보석류 세일 가장 많아
연중 최대 규모의 소비가 이뤄지는 블랙프라이데이(11월25일)가 일주일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대형 유통업체들의 올해 블랙프라이데이 실제 할인율이 공개 돼 소비자들의 꼼꼼한 점검이 필요하다.
소비자 조사기관 월렛허브가 미 소매업계 상위 35개 유통업체들이 내놓은 올해 블랙프라이데이 광고전단에 실린 8,000여 상품의 할인율을 조사한 결과, 전체 평균 할인율은 39.0%로 지난해 40.2%보다 1.2% 포인트 줄었다.
올해 평균 할인율이 가장 높은 업체는 메이시스(Macy's) 백화점으로 63.4%를 기록했다. 지난해 1위 였던 제이시페니(JCPenney) 백화점은 올해 62.8%로 선두 자리를 메이시스에 내줬다.
메이시스는 올해 블랙프라이데이에 의류와 액세서리를 59.02%, 소비재(Consumer Packaged Goods)를 58.35%, 가전제품(Appliances)을 46.71%, 컴퓨터 & 폰을 33.80% 할인 판매한다.
평균 할인율이 50%가 넘는 업체는 메이시스와 제이시페니, 스테이지(Stage • 62.8%), 하버 프레이트(Harbor Freight • 62.6%), 고드먼스(Gordmans • 61.6%), 콜스(Kohl's • 58.1%), 샵코(Shopko • 55.6%) 등 7개다. <표 참조>
하지만 한인들의 이용이 많은 타겟(Target • 28.6%)과 베스트바이(Best Buy • 33.2%), 스태이플스( Staples • 33.1%), 월마트(Wal-Mart • 32.6%), 비제이스(BJ's • 32.0%), 코스트코(Costco • 25.4%), 아마존(Amazon • 24.7%)은 블랙프라이데이 평균 할인율이 예상보다 낮아 한인들은 샤핑 전 꼼꼼한 사전 확인이 필요하다.
올해 블랙프라이데이에 가장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품목은 ‘보석’으로 35개 유통업체 전체 평균 할인율이 65%나 됐다. 이어 ‘의류와 액세서리’가 49%, ‘책과 영화, 음악제품’이 46%, ‘소비재’가 44%, ‘비디오게임’이 44%, 가구가 43%, ‘가전제품’이 41%, ‘소비가전제품’(Consumer Electronic)이 38%, ‘컴퓨터와 폰’이 34%, 장난감이 33% 각각 할인된다.
품목별로 가장 싸게 구입할 수 있는 유통업체도 공개됐다.
‘의류와 액세서리’ 경우, 고드먼스의 할인율이 67.37%로 가장 높았고 스테이지(64.49%)와 제이시페니(60.71%), 샵코(59.36%), 메이시스(59.02%)가 뒤를 이었다.
‘소비재’(Consumer Packaged Goods)는 메이시스가 58.35%로 가장 높았고 마이어(50.0%)와 크래프트 웨어하우스(48.89%), 스테이지(45.79%), 달러 제너럴(33.79%) 순이었다.
'가전제품'은 스테이지의 할인율이 57.48%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제이시페니(57.33%), 메이시스(46.71%), 프레드 마이어(44.67%), 샵코(43.96%)가 뒤를 이었다. '장난감'은 프레드 마이어가 46.99%로 할인율이 가장 높았으며 쌤스클럽(43.30%)과 CVS 파머시(43.05%), 샵코(41.97%), 토이저러스(41.47%) 순이었다.
또한 ‘컴퓨터와 폰’을 가장 싸게 구입할 수 있는 업체는 케이마트로 할인율이 54.90%였다. 제이시페니(49.00%), 오피스디포&오피스맥스(41.32%), 월마트(37.19%), 마이어(37.03%)가 뒤를 이었다. '보석'은 스테이지의 할인율이 77.28%로 가장 높았고 샵코가 74.73%, 콜스가 70.43%, 제이시페니가 69.76%, 메이시스가 66.06% 였다.
한편 전미소매협회(NRF)는 올해 할러데이샤핑 시즌 매출이 지난해보다 3.6% 늘어난 6,558억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매출은 6,310억달러였다.
<
이진수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