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평균 첫 2천달러 돌파
▶ 집구입 미뤘다 종잣돈 탕진 “주택매물 증가… 인내 필요”
부동산 시장이 둔화하는 가운데 비싼 렌트비 때문에 무주택자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집값 하락을 기대하고 주택 구입을 미뤘지만 사상 최고 수준 임대료 탓에 주택 마련 자금이 낭비되는 상황이다.
4일 부동산업체 레드핀에 따르면 지난 5월 미국 월평균 주택 임대료는 2,002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사상 처음 2,000달러를 넘어선 것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5% 올랐다. 팬데믹 직전 1,600달러 선이었던 주택 평균 임대료는 이후 2년 동안 급등세를 이어왔다.
레드핀의 테일러 마르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모기지 금리 상승에 주택 구입을 고민하던 사람들이 다수 렌트로 방향을 틀었다”며 “공급 대비 수요가 증가한 것이 결국 주택 임대료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주의 한인들 주요 거주 지역 임대료도 함께 치솟았다. 부동산 전문업체 아파트먼트 리스닷컴에 따르면 가족이 함께 주로 사는 2베드룸 기준 LA의 5월 월평균 임대료는 2,190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14.8% 오른 것이다.
오렌지카운티의 경우에는 같은 기간 상승 폭은 12.6%로 조금 낮았지만 가격은 2,270달러로 더 비쌌다. 학군이 좋아 한인들도 선호하는 어바인은 무려 2베드룸 월평균 임대료가 3,220달러로 가주에서 가장 비쌌다.
렌트 가격 급등은 무주택자들에게 큰 고민을 안겨주고 있다. 부동산 시장 침체가 시작되면서 주택 구입을 미룬 사람들이 많은데 비싼 렌트비가 차라리 집을 사는게 낫다는 생각을 심어주기 때문이다.
최근 신혼 생활을 시작한 한인 김모씨는 “팬데믹 기간 치솟은 주택 가격이 부담스러워 렌트를 알아봤는데 고민이 더 커졌다”며 “왜 집을 일찍 사지 않았냐는 스트레스를 다시 받게 된다”고 하소연했다. 여기에 더해 연방준비제도(FRB·연준)의 기준 금리 인상으로 함께 올라간 모기지 이자율 때문에 지금 집을 사는 것도 어려운 상황이다.
다만 시장 전문가들은 렌트비는 물론 주택 가격도 떨어지고 있기 때문에 부동산 구입은 미루는 걸 추천한다. 주택 재고량이 사상 최저 수준에서 반등하면서 시장에 풀리는 물량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업체 리얼터닷컴에 따르면 6월 기준 전국 주택 물량은 전년 동기 대비 18.7% 증가했다. 특히 리스팅 기간이 늘어나면서 가격을 하락 조정하는 집주인들이 많아졌다는 분석이다. 다니엘 할레 리얼터닷컴 이코노미스트는 “극단적 판매자 우위 시장이 원점으로 돌아오고 있다”며 “구매자들은 자신들에게 유리한 시간이 다가오는 걸 기다릴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
이경운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