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로 젊은 사람들은 고속운전을 즐긴다. 또 일반적으로 백인들보다는 유색인종들이 차를 빨리 모는 경향이 있다 한다. 차를 빨리 모는 사람을 특별히 가리키는 말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lead foot(을레드 후웃)이다. lead(납) 같이 무거운 foot(발)을 가졌다는 뜻인데, accelerator(액쎌러레이터) 즉 악셀을 한번 밟았다 하면 뗄줄 모른다는 표현이다. lead-footed(을레드훗티드)와 같이 써서 형용사로 사용하기도한다. Jim is lead-footed.나 Jim is a lead foot.는 모두 “짐은 차를 빨리 몬다”는 뜻이다.
즉 Jim is a fast driver. 와 같은 말이다. 차를 빨리 모는 것은 step on it 또는 floor it 또는 put the petal to the metal(풋 더 페덜 투 더 메덜), 또는drive with a lead foot등으로 표현한다. 처음 것은 “밟는다”는 뜻이고, 나머지 두개는 “악셀을 바닥까지 밟는다”는 뜻이다. 또 burn the breeze(버언 더 브리이즈)도 “바람을 태운다” 즉 “차를 빨리 몬다”는 뜻의 슬랭이다. burn rubber(버언 라버)란 속어도 있는데, 글자 그대로 “고무를 태운다”는 말이니까 “급하게 차를 출발시킨다“는 뜻이다.
A: Do you need a lift, Jenny? Hop in.
B: Thanks but you are a lead foot, aren’t you?
A: Don’t worry, Jenny. I won’t put the petal to the metal.
B: Please, don’t burn the breeze.
A: 제니, 너 어디 갈데있으면 타.
B: 고맙긴한데, 너 차 빨리 몰잖아?
A: 걱정마, 제니. 빨리 몰지 않을게.
B: 제발 차, 빨리 몰지 말아줘.
Passenger: Driver, step on it, please! I have a plane to catch at three!
Taxi driver: Sorry but we can’t go faster than the speed limit, sir!
P: What’s the speed limit here?
승객: 운전사 양반, 더 밟아요! 3시에 비행기를 타야해요!
기사: 죄송하지만 제한속도 이상 빨리 갈수는 없습니다!
승객: 여기 제한 속도가 얼만데요?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