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청원 참여방법
백악관 서명운동 참여방법 백악관 청원 사이트(http://wh.gov/z27T)에 서명하는 방법은 사이트 하단에 Create An Account 또는 우측 하단의 Create a Petition을 클릭하고 이메일 주소와 이름을 입력하고, 직접 방문자 확인, 그림문자 영어 소문자 대문자를 똑같이 입력하고 Create An Account 를 클릭한다. 이어 본인 이메일의 받은 메일(Inbox)을 열어 Whitehouse.GOV로부터 온 메일 링크를 클릭하거나, 클릭이 안 되면 링크 주소를 카피하여 주소 창에 붙이면 자동으로 한 표를 행사한 것이 된다.혹은 청원 사이트(http://wh.gov/ z27T)를 클릭해 이메일에 있는 백악관에서 보낸 계정(WhiteHouse.gov account information)의 이메일 주소와 비밀번호를 입력해 한 표를 해도 된다.
국무부를 비롯한 미 정부기관의 남북한 지도 차별을 시정하라는 서명운동이 워싱턴에서 시작됐다. 지난해 동해-일본해 병기 운동에 이은 제2의 백악관 청원캠페인이다.
버지니아의 윌리엄 문 씨(포토맥 컴퓨터 대표)는 미 정부기관의 지도에서 남북한과 일본, 중국과의 차별을 시정하라는 백악관 웹사이트(http://peitions.whitehouse.gov) 서명 운동을 5월 들어 전개하고 있다.
문 대표는 “미국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지도에 중국과 일본은 주권 영토뿐만 아니라 주변국과 한반도까지 포함시켜 나오는데 유독 대한민국과 북한 지도는 한반도의 반 토막만 나온다”면서 “이 같은 차별은 한반도가 영구 분단국가나 마치 중국이나 일본에 예속된 국가처럼 비칠 수 있기에 반드시 시정돼야 한다”고 캠페인 취지를 밝혔다.
국무부 지도는 남북한은 각각 한반도의 절반만 표시된 반면 일본과 중국은 주변국들을 함께 소개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한반도 전체와 중국, 러시아의 일부가 포함돼 있고 중국 지도는 한국, 일본, 몽골은 물론, 러시아 인도 카자흐스탄 네팔 등 주변국 일부가 표시됐다.
이 같은 형평성의 문제는 다른 나라의 지도를 봐도 확인된다. 대부분의 국가는 해당국 영토만 표시될 뿐 주변국은 국경 일부만 소개되고 있다. 가령 일본처럼 영국, 뉴질랜드 등 섬나라들은 고유 영토만 표시된 반면 일본만 한반도 전체까지 표시하고 있는 것이다. 또 러시아와 캐나다, 인도, 브라질, 호주 등 거대 영토국가들 중 중국처럼 주변국 전체가 나온 사례도 찾을 수 없다.
문 대표는 “여타 국가들과의 형평성에서 어긋난다는 점에서 단순히 실수로 보기엔 석연찮다”면서 “일장기가 노출된 지도에 일본과 무관한 한반도 전체를 포함시켜 보여주는 것은 일본 제국주의 시대를 연상시킬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문 대표는 특히 “남북한은 한반도 전체를 보여주지 않고 남과 북의 일부만 소개하는 것은 한반도는 영구 분단국가란 국제적 인식을 심화시킬 수 있다”며 “남북한이야말로 한반도 전체 지도가 나와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게다가 일본 지도와 남북한 지도 모두 ‘동해’는 ‘일본해(Sea of Japan)’, 독도는 암초라는 뜻의 ‘리앙쿠르 록스(Liancourt Rocks)’로 표시되고 있는 점도 납득하기 어려운 대목이다.
문 대표는 “국무부 등 미 정부 기관의 지도는 미국인들은 물론, 세계 각국의 지도와 네티즌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면서 “미 정부는 양국간 우호와 동맹을 위해서라도 이 같은 차별적 행위를 즉각 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표는 미 정부기관 지도의 차별을 시정하기 위한 캠페인을 위해 ‘한반도 지도 바로찾기 운동본부’도 최근 출범시켰다. 또 백악관 청원 캠페인을 통해 미주 한인사회의 여론을 미 정부에 전달한다는 계획이다.
<이종국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