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인 이민문학의 발전과정 시대와 장르,세대별로 정리
▶ “한국계 미국 문학의 전망 밝다”
2000년대 들어 언어의 장애 극복. 작품 활동 활발
첫 영문 소설 작품은 1921년 나온 ‘한수의 여행’
미주 한인 이민 110주년을 맞이하여 이민 문학의 발전과정을 시대별,장르별,세대별로 나누어 전반적인 흐름을 개괄할수 있는 영문판 책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미국내 소수민족 문학을 오랫동안 연구해온 류선모 교수( 경기대학교 명예교수. 전 UC버클리 방문교수)에 의해 지난 7월 캐나다 토론토 소재 ‘Variety Crossing Press’를 통해 ‘한국계 미국인 문학의 이해(Understanding Korean American Literature)’라는 제목으로 나왔다.
이 책은 ‘미국의 꿈,자아정체성,그리고 동화’를 부제로 삼아 한인 이민문학의 발전과정을 한눈에 알아 볼수 있도록 간결하게 요약정리되어있다.. 류선모 교수는 “한국계 미국문학에 관한 연구는 누군가 꼭 해야할 일이나 비주류에 속하는 소수계 문학이라는 이유로 미국 문학을 전공하는 교수들 조차 무관심했으나 자신은 이민문학에 높은 관심을 갖고 1980년대초부터 이 분야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여 결실을 맺게 됐다”고 밝혔다.
특히 류 교수는 한국계 미국인 작가들이 자아 정체성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한국의 역사,문화,문학에 대한 정보가 부족함을 알고 한인 2-3세에게 한국의 문화와 전통을 소개하고 읽힐 목적으로 한국계 미국인 작가들이 작품을 쓰기 시작했다는 말을 듣고 더욱 용기를 얻어 이 분야의 연구를 처음으로 시작했다고 그 배경도 제시했다. 류 교수는 이 책을 통해 한국계 미국인으로서 최초에 영문으로 소설을 쓴 사람은 1921년 ‘한수의 여행’(Hansu’s Journey)을 쓴 Philip Jaisohn(Jae-pil Soh)라고 밝히고 있다. 서재필은 이 작품을 Korea Review의 Vol.lll,No2-7까지 6회에 걸쳐 연재로 발표했었다.
또 한국계 미국인 작가로 첫번째 시집을 발표한 작가는 Willyce Kim의 Curtain of Light(1971)와 Ko Won의 The Turn of Zero(1974)등을 꼽았다. 류 교수는 작품의 시대 구분은 1930년을 시작으로 30년 단위로 구분하여 작가를 소개하고 있다. 류 교수는 1990년대가 ‘한국계 미국인의 문예 부흥시대’라면서 이 시기에 다양한 장르에서 많은 작가들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온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 내용면에서는 자아 정체성탐구, 입양작가들의 이산의 한,혼혈 작가들의 인간 보편성의 추구, 종군 위안부들의 악몽, 한국 전쟁과 이산의 아픔, 이방인 존재의 각성등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세대별로는 1930년대와 60년대에는 이민 1세대 작가들이 활동했다. 90년대이후는 1,5세와 2-3세대들이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시기이다. 그리고 2000년대들어서는 1세들은 서서히 사라지고 1,5세와 2,3세대작가들의 활동무대가 전개되고 있다. 주제면에서는 이민 1세대 작가는 한국인의 정체성을 갖고 미국에서의 꿈을 추구하였다. 1,5세대는 미 주류문화에 동화,2세들은 다시 자아 정체성 추구로 회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있다. 류선모 교수는 “2000년대 이후 언어의 장벽을 극복한 한국계 미국인 작가들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기 때문에 한국계 미국문학의 전망은 매우 밝다”고 전망했다.
류 교수는 “세계문학이라는 관점에서 독자들을 고려해 본다면 한국의 작가보다 영어로 직접 작품을 쓰는 한국계 미국인 작가들에게 더 큰 기대와 비중을 두고있다”고 밝혔다. 임진희 남서울대 교수는 “영어권에서 영어로 출판된 한국계 미국문학의 비평서라는 점에서 뜻깊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한국계 미국 문학의 연구에 초석이 되는 책이자 문학연구의 지평을 확장고있다”고 서평에서 밝히고 있다. 240 페이지 크기의 이 책은 한국인의 정체성과 이민문학을 이해하기 위하여 한인2세와 3세뿐 아니라 미국문학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필독서로 높은 호응을 얻고있다.
이 책을 낸 류선모 교수는 성균관대학에서 영어영문학 전공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은후 경기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근무했었다. 미국 소설학회 고문인 류 교수는 1994년 ‘미국 소수민족작가론’ 책자를 낸이래 2002년 ‘미국 소수민족문학의 이해’ 2004년 한국계 미국 작가론등 미국내 작가 연구에 대한 여러권의 저서를 갖고있다. 류선모교수 연락 이메일:sunryoo@empas.com
<손수락 기자>
저자 류선모 경기대 명예 교수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