힙합가수들의 대마초 스캔들이 또 터졌다. 가요계는 마약 광풍이 이어서 불어닥칠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앞서 2011년 힙합가수 크라운제이와힙합 듀오 '슈프림팀' 멤버 이센스가 대마초를 피운 혐의로 적발되면서힙합계에는 대마초 경계령이 내려졌다.
그러다 지난해 힙합 가수 범키가 엑스터시를 투약했다는 혐의로 유죄를 받으면서 힙합계에 마약 관련 거센 바람이 다시 불기 시작했다. 게다가 이센스는 다시 대마초를 피운 혐의로 지난해 징역형을 선고받고 구치소에 수감 중이다. 범키는 무죄를 주장하며 항소심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에 대마초를 수차례 흡연한혐의로 불구속 입건된 10명에는 유명 래퍼 겸 프로듀서, 아이돌 그룹 멤버들이 대거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파장이 클 것으로 보인다. 엠넷 힙합 서바이벌 프로그램 ‘쇼미더머니' 시즌3 준우승자인 아이언은 이름이 공개됐다.
앞서 힙합 기반의 인기 아이돌그룹의 리더가 대마초에 대한 양성 반응이 나오고 또 다른 아이돌 걸그룹 멤버가 암페타민을 밀수한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었던만큼 가요계의 눈과 귀가 쏠린 상황이다.
특히 가수들 뿐 아니라 작곡가, 공연기획자, 가수 지망생 등도 함께 경찰에 붙잡혀 힙합계에 대마초 흡연 문화가 전반에 걸쳐 퍼져있는 것은 아니냐는 의심을 사고있다.
항상 대중에 대한 노출로 스트레스와 조울증을 감당해야 하는연예인은 대마초 등 마약에 연루될 위험이 당연히 크다. 또 창작의고통을 호소하며 환각제 등에 의존하는 경우도 있다.
그 중에서도 힙합가수들은 미국문화의 큰 자장권 아래에 있어 자유롭다는 인식이 강하다. 심한 욕설과 여성 비하 등의 시비에도 자주 휩싸인다. 하지만 흑인들의 사회 저항 의식이 밑바탕에 깔린 장르인 만큼 도덕성보다는 음악성에좀 더 무게중심이 쏠린 경향이 있었다.
이로 인해 사생활이나 작업 과정보다는 음반과 공연 등 결과물에 초점이 맞춰진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암암리에 마약과 관련 표적이 돼 온 것도 있다.
일각에서는 확대 해석이라며이런 시선에 선을 그어왔다. 하지만 힙합가수들이 대마초 흡연 혐의를 받고 있음에도 활동을 하고음반을 내는 등의 최근 활동 흐름에 대해 시비가 불거지면서 과도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범키는 유죄 판결을 받고 재판을 진행 중임에도 지난 1월 정규앨범 ‘유-턴(U-TURN)'을 발매했다. 이센스는 지난해 구속 수감 전에 작업한 음반 ‘디 애닉도트(TheAnecdote)'를 옥중에서 발표, 지난2월 ‘한국대중음악상' 시상식에서올해의 음반상과 최우수 랩&힙합음반상을 받기도 했다.
일부에서는 음악은 별개로 봐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지만 음악적 완성도가 면죄부를 위한 수단이 돼서는 안 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불거지고 있다.
아이돌 그룹 소속사 관계자는 “최근 힙합에 기반한 아이돌 그룹이 늘어나는 등 청소년들 사이에서 힙합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면서 힙합문화의 부정적인 측면에 어릴 때부터 무감각해지면 결국커서도 그릇된 인식을 심어줄 수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걱정했다.
힙합이 대중문화의 한 축으로자리잡고 있는 시점에서 이번 대마초 스캔들이 찬물을 끼얹는 것이아니냐는 안타까움을 섞은 목소리도 나온다.
최근 엠넷 ‘쇼미더머니'‘ 언프리티 랩스타' 등 힙합 서바이벌 프로그램으로 이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쌓였다. 음지 또는 언더그라운드 문화로 여겨져온 그간의 흐름에 비춰 상당한 진전이다.
MBC TV ‘ 무한도전'에서도 힙합을 다뤘고, JTBC는 평균 65세 할머니들이 출연하는 대중적인 힙합프로그램 ‘힙합의 민족'을 론칭한 상황이다.
중견 힙합 레이블 관계자는 “힙합에 대한 관심이 이제야 늘어서 기대를 많이 하고 있었다"며 “아이돌 그룹 위주의 댄스 음악에 편중된 한국 대중음악 시장이 조금 다양화되나 싶었는데 이번 경찰의대마초 수사 결과로 착잡하다"고말했다. <이재훈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