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전 미군참전용사들 잊혀진 이야기 ‘한국전쟁의 영웅들’ 곧 발간 예정
▶ 한경림 할머니 자비로 광고, 대상자 찾아

영문판 ‘한국전쟁의 영웅들’의 출간을 준비하고 있는 한경림 할머니.
“당신은 한국전쟁 참전용사이십니까? 만약 그렇다면 우린 여러분의 이야기(경험담)를 듣고 싶습니다.”(Are you a War Veteran of Korean War? If so, We would love to hear your story)라고 쓰인 문구가 눈에 들어왔다.
실리콘밸리 지역의 유력 일간지 머큐리 뉴스에 올 1월 20일부터 지난 4월 20일까지 한 달에 8번, 총 32번에 걸쳐 이런 내용의 광고가 실렸다.
81세 할머니의 손에는 접고 접어서 손바닥만 해진 신문지 한 장이 들려있었고, 펼쳐진 신문의 한편에는 이 광고가 있었다. 자비를 들여 미군 참전용사를 찾는 광고를 낸 건 산타클라라 거주 한경림 할머니였다.
한 할머니는 지금은 고인이 된 남편인 탐 클레이튼 변호사와 함께 참전용사를 찾아내 이들 한명 한명의 이야기를 영문 책으로 내자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2012년 7월 클레이튼씨가 사망하면서 한 할머니의 기억에서 남편과 같이 하기로 했던 책 발간은 잊히는 듯했다.

한 할머니가 머큐리 신문에 자비로 32번에 걸쳐 낸 한국전 참전 미군용사를 찾는다는 광고.
하지만 올해 그간의 아픔을 딛고 남편과 살아생전 함께 하기로 했던 작업을 홀로 시작했다.
“15살 되던 해 전쟁이 터졌지요. 당시 있었던 일들은 거의 기억할 나이였어요. 한국전쟁에서 미군의 희생이 없었다면 오늘날 대한민국의 발전과 평화는 없었겠죠. 그런 마음에서 이분들의 실화를 기록으로 남기고 싶었고, 그런 제 마음을 안 남편은 무작정 이일을 돕겠다고 했죠.”끔찍했던 한국전쟁의 소용돌이 속에 놓였던 15세 소녀가 66년이란 세월이 지나 할머니가 된 지금, 책을 통해 과거 자신과의 재회를 기다리고 있다.
첫 광고가 나가기 전 한 할머니는 과연 이걸 보고 참전용사들이 찾아올까 내심 걱정을 했다. 하지만 결과는 뜻밖이었다.
“광고가 나오자마자 전화와 이메일이 쇄도하는 거예요. 광고가 나가고 3일 만에 4명의 참전용사들과 첫 미팅을 갖게 됐어요. 이 분들에게 점심을 대접하고 이야기를 들었죠. 가슴이 벅차더군요.”
이어 연락 오는 참전 용사가 하루가 다르게 늘어났고, 지난 4월 30일 가진 9번째 미팅에서는 미군 15명 포함, 25명(유재정 북가주 6•25 참전 국가유공자회 회장 등 한인 참전용사 4명)이 함께했다. 기록 등 산재해 있는 많은 일들을 혼자 감당하기 힘들었던 한 할머니는 또 다시 자신의 주머니를 털어 이들의 한국전 경험담을 적어줄 파트타임 직원을 구했다.
“연세가 많아 거동이 불편한 참전용사 4명은 손 편지와 이메일로 한국전쟁의 이야기를 적어서 보내주기도 했어요. 편지 안에는 전쟁의 참상과 가슴 시린 기억들로 가득하더군요.”
한 할머니는 참전용사 대부분이 죽을 고비를 수차례 넘긴 사람들이고 불과 수 초전 이야기를 나눴던 전우가 죽어 있는 모습을 목격할 정도로 전쟁의 아픔을 겪었다고 설명했다.
“한국전쟁이라는 커다란 역사에 대해선 알고 있지만 한명 한명이 겪어야 했던 작은 이야기들을 우린 너무나 모르고 있어요. 잊혀져가는 전쟁사지만 이 책안에서는 이 분들은 주인공이고 페이지마다 각자 당시 참전했던 시절의 사진이 들어가게 됩니다.”
이같이 잊혀져가고 있는 한국전쟁이란 가슴 아픈 역사가 한국정부가 아닌 한 한인 할머니의 끈기와 노력으로 다시 세상에 빛을 발하려 하고 있다.
“책 제목은 ‘The Korean War Heros'(한국전쟁의 영웅들)입니다. 누군가는 이 분들의 희생을 기억해줘야 하지 않나요.”
한경림 할머니의 책 출간에 도움주고 싶은 한인은 (408)712-6933으로 연락하면 된다.
<
김판겸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