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란컸던 SF*오클랜드*알바니 소다세 부과 통과
▶ 바트 인프라*AC트랜짓 개선*주택자금 마련돼
새크라멘토 세일즈 택스 인상안 2/3 못넘어 부결
====
베이 주민들의 일상을 바꿀 카운티 발의안 및 조례안이 결정됐다. 주택위기가 심화된 베이지역의 세입자 보호, 인상률 제한을 내세운 렌트컨트롤 법안이 봇물을 이룬 가운데 오클랜드(Measure JJ)는 74%, 버클리(AA)는 72%, 리치몬드(L)는 64%, 마운틴뷰(V)는 53% 찬성을 얻어 통과된 반면 알라메다(M1)는 반대 66%, 산마테오(Q)는 반대 61%, 벌링게임(R) 반대 61%로 부결됐다.
SF카운티 제인 김 시의원이 발의한 SF시티칼리지 무상교육 재원이 될 발의안 W(부동산판매세 인상)는 62% 찬성으로, 시티칼리지 재산세 연장안인 발의안 B도 80%로 통과됐다. 그러나 16세 이상 미성년자에게 로컬선거 투표권을 부여한 발의안 F는 반대 53%로 부결됐다.
한편 음료협회 격렬한 반대로 그로서리 택스로 논란을 일으킨 소다세 부과는 샌프란시스코(발의안 V)에서 찬성 62%로, 오클랜드(Measure HH)는 61%, 알바니도 64%의 지지를 받아 통과됐다. 소다세 부과는 50% 넘을 경우 통과된다. 이로써 2014년 버클리(미 최초)에 이어 SF, 오클랜드, 알바니에서도 소다세가 적용된다.
버클리가 15달러 최저임금 인상시기를 2017년(CC)과 2019년(BB)으로 발의한 조례 모두 반대 66%로 부결됐다.
산호세 공무원 연금수정 발의안인 F와 무선전화 서비스 유틸리티 사용자 세금부과안인 N은 압도적 찬성으로 통과됐다. 또 시의원 임기제한안인 P도 82.1%의 찬성으로 통과됐다.
산타클라라 시 소유 땅을 주차장이나 오락을 위한 목적으로 팔경우 유권자 2/3 동의가 필요한 R안도 89.7%의 찬성으로 통과됐다.
마리나 시장 임기를 2년에서 4년으로 변경하는 V안도 60.7%의 지지로 통과됐다.
카운티별로는 알라메다카운티의 경우 주택자금 발의안 A1 찬성 72%, AC 트랜짓 자금 발의안 C1 찬성 82%로 압도적인 지지를 얻었다. 콘트라코스타카운티는 세일즈택스 인상으로 대중교통 개선자금을 마련하는 발의안 X가 63% 찬성을 얻었으나 2/3를 넘지 못해 부결됐다.
바트 인프라 개선 발의안 RR(2/3 이상 찬성 필요)은 알라메다 카운티 71%, SF 81%를 얻어 통과됐으나 콘트라코스타 카운티는 60% 찬성에 그쳐 부결됐다. 산마테오카운티는 세일즈택스 인상으로 서민주택 건설과 공원조성 기금을 마련하는 발의안 K가 찬성 70%를 받았다.
산타 클라라 카운티에서는 저소득 주택 채권 발행안 A가 67%의 압도적 지지로 통과됐다. 새크라멘토는 판매세 인상안인 B가 64.8%의 찬성을 받았지만 2/3이상 득표해야 해 부결됐다. 선거구 재배치안인 L은 53.25%의 찬성으로 통과됐다. 몬트레이 카운티의 경우 카운티내 석유및 개스 시추금지안인 Z가 55.53% 찬성으로 통과됐다.
<
이광희 신영주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