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탁본만 전하던 ‘영국사 혜거국사비’…281자 중 256자 해독

도봉서원터에서 나온 영국사 혜거국사비. [문화재청 제공]
지난 2012년 보물급 이상의 가치를 지닌 불교 용구가 쏟아져 나왔던 서울 도봉서원터에서 고려사의 오랜 논쟁을 풀어줄 비석 조각이 출토됐다.
이 비석은 일부분의 탁본만 전해온 '영국사 혜거국사비'(寧國寺 慧炬國師碑)로, 학계에서 논란이 있었던 비석의 소재지와 혜거국사라는 인물의 정체를 명확히 알려주는 유물로 평가된다.
문화재청은 도봉구청과 불교문화재연구소가 지난 6월부터 발굴조사 중인 서울 도봉서원터에서 길이 62㎝, 폭 52㎝, 두께 20㎝ 크기의 비석 조각을 찾아냈다고 27일 밝혔다.
10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영국사 혜거국사비는 조선 제14대 임금 선조의 손자인 이우(1637∼1693)가 현종 9년(1668) 신라 이후의 금석문 탁본을 모아 엮은 책인 '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에 탁본이 실렸으나, 88자만 남아 있는 상태였다.
이번에 발굴된 비석 조각에는 281자가 새겨져 있는데, 그중 256자가 판독됐다. 그중에는 '견주도봉산영국사'(見州道峯山寧國寺)라는 글자도 있었다. 견주는 양주의 옛 지명이다.
이에 대해 박찬문 불교문화재연구소 팀장은 "대동금석서에는 탁본 옆에 '영국사 혜거국사비'라는 명칭만 기록돼 있어서 충북 영동 영국사가 비석 소재지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있었다"며 "비석 실물이 나옴으로써 이 비석이 있던 장소는 도봉산 영국사로 결론이 났다"고 말했다.
박 팀장은 이어 "문헌에 나오는 대로 도봉서원이 영국사 터에 창건됐다는 사실도 명확해졌다"고 덧붙였다.
불교문화재연구소는 영국사 혜거국사비의 발견으로 영국사 혜거국사(慧炬國師)와 화성 용주사에 있던 갈양사 혜거국사(惠居國師)가 동시대를 살았던 동명이인이라는 점도 확실해졌다고 설명했다.
갈양사 혜거국사는 고려 최초의 국사이고, 영국사 혜거국사는 중국 유학을 다녀온 뒤 선종의 일파인 법안종을 고려에 전파했다는 승려다.
박 팀장은 "많은 사람이 영국사 혜거국사와 갈양사 혜거국사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두 승려의 삶을 재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고려시대 하층 유구(遺構·건물의 자취)에서 통일신라시대 기와와 건물 기단이 드러나 영국사가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됐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도봉서원은 1573년 정암(靜庵) 조광조(1482∼1519)를 기리기 위해 세워졌으나, 임진왜란 때 불탔다가 1608년 중건됐다. 이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71년 문을 닫았다.
지난 2011년부터 3년간 진행된 발굴조사에서 고려시대 불교 용구인 금강령·금강저·향로·발우 등 77점에 이르는 유물이 무더기로 출토된 바 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