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매출 급감 속‘출판 부활’시도 잇따라, 침대 둔 북 아파트, 입장료 내는 서점 등
▶ 공간의 가치·특별한 경험 강조한 전략, ‘ 여기서만 팔아요’ 소장욕 자극 기획도

츠타야 북 아파트먼트에서는 캡슐 호텔 콘셉트 개인 공간에서 책을 읽을 수도 있다. 외부 모습(왼쪽)과 내부. <송주희기자>
최근 종영한 드라마 ‘로맨스는 별책부록’에는 책 파쇄 공장이 등장한다. 출판사 편집장인 주인공은 ‘1톤 트럭 두 대 분량을 파쇄하고 책 서른 권 정도를 살 수 있는 돈을 받는다’고 읊조린다.
직원이 “멀쩡한 책을… 파쇄 말고는 다른 방법이 없느냐”고 묻자 주인공은 말한다. “안 팔리는 책을 계속 창고에 쌓아둘 순 없어요. 보관비가 드니까. 그나마 이렇게 폐지 처리하면 종잇값이라도 받을 테니.”
활자는 영상이, 종이책은 스마트폰이 대체한 세상이다. 사람들은 좀처럼 책을 읽지 않는다. 베스트셀러의 기대를 한몸에 받으며 세상에 나왔지만, 얼마 안 가 ‘보관비 부담’의 천덕꾸러기가 되어 폐지로 생을 마감하는 책들. 독서 인구가 줄어들수록 이런 책은 많아질 수밖에 없다.
‘전 세계에서 책을 가장 많이 읽는 국가’ 일본도 예외는 아니다. 일본은 1인당 월평균 독서량이 6.1권(OECD)으로 미국과 선두를 다투는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종이책 부진’의 바람을 피해가지 못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과 일본 서점 조사기관 알 미디어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내 종이책 총 매출액은 1조 2,800억엔으로 14년째 줄었다. 서점 수도 1만 2,026개로 20년 전과 비교해 반 토막 났다. 이마저도 ‘잡지 스탠드’ 형태의 매장 없는 서점까지 포함한 수치라 점포 형태로 책을 취급하는 곳은 1만 개 미만일 것이라는 분석이다.
문 닫는 곳도 많지만, ‘서점 부활’, ‘종이 왕국 사수’를 위한 시도는 일본 곳곳에서 이어지고 있다. 핵심은 ‘체험하고 싶은 공간으로서의 서점’에 있다.
책 하면 떠오르는 일본의 대표 브랜드 ‘츠타야’는 신주쿠에 ‘북 아파트먼트’를 선보이며 국내는 물론 해외 관광객들까지 사로잡고 있다. 도쿄의 대표 번화가 신주쿠에 들어선 츠타야 북 아파트먼트는 한 건물의 2~6층을 쓴다. 2~3층은 스타벅스와 협업해 ‘북 라운지’ 형태로 운영한다. 일반 스타벅스 매장과 똑같이 음료 주문이 가능하지만, 조용하게 책을 읽을 수 있는 분위기가 연출돼 있다. 4층부터는 별도의 비용을 내고 사용해야 한다. 이용 시간, 사용 공간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는데, 캡슐 호텔처럼 개인 공간에서 책을 읽을 수도 있고, 여성 전용층을 따로 이용할 수도 있다. 기본 비용만 내도 음료와 차를 무료로 마시면서 구비된 책을 읽는 게 가능하다. 12시간 이용권이 있는 데다 탈의실과 샤워 시설까지 갖추고 있어 휴가나 주말을 맞은 학생·직장인들이 장시간 머물며 휴식을 취하기도 한다.
특히 ‘공동 업무 공간’은 인근 회사원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많다. 컴퓨터 사용 공간은 물론 곳곳에 소규모 대화를 할 수 있는 테이블이 마련돼 있어 점심 전후 간단히 회의하러 이곳을 찾는 직장인들을 자주 보게 된다. 북 아파트먼트 관계자는 “20, 30대 학생·직장인들이 주로 방문하지만, 호기심에 왔다가 책을 읽고 가는 사람들은 물론 이곳을 체험해보고 싶어 단체로 찾아오는 관광객들도 있다”고 전했다.
도쿄의 또 다른 명소 롯폰기에는 입장료를 내는 서점이 있다. 금액도 우리 돈으로 1만 5,000원(1,500엔)이 조금 넘어 저렴한 편은 아니지만, 주말에는 입장에 제한을 둘 만큼 그야말로 ‘핫한’ 장소다. 2018년 12월 문을 연 이곳은 바로 ‘책과 만나는 책방’을 내건 복합 문화공간 분키츠(文喫). 40여 년 운영하던 아오야마 북 센터가 불황 탓에 폐업한 뒤 그 자리에 다시 문을 열었다. 3만 권의 책을 보유한 이곳은 입장료를 내면 이용 시간제한 없이 다양한 서적을 읽으며 쉴 수 있다. 커피와 차는 무료다. 이곳의 특징은 각각의 책은 단 한 권씩 존재하고, 진열은 특별한 구분 없이 자유자재라는 점. 책과의 우연한 만남을 강조하는 서점의 철학이 반영됐다. 독특한 콘셉트와 함께 카페·전시실 등이 함께 마련돼 있다 보니 굳이 책을 읽지 않더라도 이곳만의 독특한 분위기를 즐기기 위해 오는 고객도 많다고. 분키츠가 지향하는 바도 여기에 있다.
이런 식의 만남으로 독서의 즐거움, 책과의 만남의 계기를 제공해 ‘책 읽지 않는 사람들과의 접점’을 확대해나간다는 것이다.
<
도쿄=송주희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