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자살률이 세계에서 제일 높다는데 무엇이 문제인지 우리 생각 좀 해보자. 2013년에 나온 미국 작가 짐 해리슨 (Jim Harrison)의 소설집 ‘The River Swimmer’에 수록된 중편 소설 ‘다른 나라(The Land of Unlike ness)’에서 작가는 다음과 같은 7가지 삶의 지침을 제시한다.
1. 밖으로 나가 많이 걸으라. 2. 음식을 가려 먹으라. 3. 몸으로 못하면 눈으로라도 즐겨라. 4. 자신에 대한 유머감각을 갖고 매사를 웃어 넘겨라. 5. 좋은 책을 읽고 좋은 생각만 하라. 6. 욕심 많고 떫은 인간들을 외면하라. 7. 스스로를 성찰하는 삶을 살라.
이는 편안한 마음으로 제 분수를 지키며 만족함을 안다는 안분지족(安分知足)과 구차한 중에도 편안한 마음으로 도(道)를 즐긴다는 안빈낙도(安貧樂道)의 삶이다.
미국의 26대 대통령으로 노벨평화상을 받은 테디 루즈벨트(1858-1919)가 영어로 쓰인 가장 훌륭한 스토리라고 극찬한 바 있는 영국의 자연주의 박물학자 윌리엄 헨리 허드슨(William Henry Hudson 1841-1922)의 ‘엘 옴부 (ElOmbu) : 남미에서 자라는 나무’이야기에 이런 대사가 있다.
‘어서 오게. 친구 니간드로. 이 나무 그늘에 앉아 우리 얘기 좀 나누세. 이 오래된 옴부나무 잎에는 정치도, 야심도, 모사도, 적의도, 어떤 악감정도 없지 않은가. 이 옴부나무 잎들은 우리의 월계관이지. 도시 생활을 모르는 자네는 행복한 사람이야. 나도 자네처럼 초가지붕 밑에서 고요한 평원의 빛을 볼 수 있으면 좋겠어. 한 때는 나도 좋은 옷을 입고 금으로 된 장신구를 몸에 걸치고 큰 집에 살면서 종들을 부리기도 했지만 나는 결코 행복하지 않았었네. 꺾은 꽃마다 내 손을 찌르는 가시로 변했지. 내 형편이 좋을 때 나를 따르던 자들은 초라해진 내 모습을 보자 다 날 버리고 떠나버렸어. 그래, 지금 가난하지만 이 가난을 난 소중한 유산으로 내 자식에게 물려줄 것이네. 이 부족함으로 평화가 있을 것이니…’
서양 속담에 ‘사람이 무엇을 얼마나 가졌느냐에 따라 부자가 아니고 어떤 사람이냐에 따라서다’라는 말이 있다. 로마의 철학자 세네카는 ‘너무 적게 가진 자가 아니고 더 탐내는 자가 빈자 (貧者)’ 라고 설파하지 않았나.
초등학교 다닐 때 선생님이 해주신 말씀 가운데 잊혀지지 않는 것이 있다. 하나는 세상을 물 흘러가듯 살라는 말씀이었다. 흐르다가 낭떠러지를 만나면 폭포처럼 떨어지기도 하고 바위를 만나거든 바위 밑을 뚫거나 돌아서 굽이굽이 흐르는 유수와 같이 살라는 것이다. 또 하나는 세상살이가 등산하는 것과 같은데 산꼭대기를 향해 일로매진, 한눈 한 번 안 팔면서 남보다 먼저 정상에 올라보려고 사력을 다할 수도 있지만, 그보다는 산 오르는 길 한 걸음 한 걸음을 마음껏 한껏 유감없이 즐기면서 살라는 말씀이었다.
누군가 말했듯 얼마나 멀리 가느냐보다 얼마나 무엇을 보느냐가, 얼마나 무엇을 보느냐보다 얼마나 무엇을 배우느냐가, 얼마나 무엇을 배우느냐보다 얼마나 배운 대로 사느냐가 문제이며 해답이리라.
<
이태상/자유기고가>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