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평균 8만610달러
▶아시안은 11만달러 높아
▶ “구매력 회복의 청신호”
▶남녀 소득격차 더 커져
지난해 중산층 가구 소득이 상승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40년 만의 고물가를 잡기 위해 소방수로 나섰던 연방준비제도(FRB·연준)의 고금리 정책이 효과를 보인 데 더해 일자리 시장도 호황을 보이면서 실질 소득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11일 연방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2023년 실질 중위가구 소득은 2022년 7만7,540달러보다 4.0% 오른 8만610달러을 기록했다. 중위 가구 소득은 가구별 소득을 1등부터 100등까지 나열했을 때 50등 가구가 벌어 들이는 소득을 말한다.
인구조사국은 “이는 2019년 이후 실질 중위가구 소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간 증가율을 보인 첫 번째 사례”라고 강조했다.
AP 통신은 “40년 만의 가장 큰 물가 급등을 극복하고 대부분 미국인의 구매력이 회복됐다”고 전했다. 2019년 중위 소득은 8만1,210달러였다. 지난해 실질 중위가구 소득을 인종별로 보면 백인은 5.4% 증가한 8만4,630달러, 흑인은 2.8% 오른 5만6,490달러였다. 다만 아시아계(11만2,800달러)와 히스패닉(6만5,540달러)은 큰 변화가 없었다.
전문가들은 중산층 가구의 소득이 5년 만에 제자리를 찾은 데 대해 지난해 일자리 시장이 호황을 보인 데 따른 효과라고 설명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4월 실업률은 3.4%로 약 5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낮아졌고, 지난해 평균 핵심 연령층(25~54세)의 경제활동 비율은 8.07%로 2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바 있다.
연준의 기준 금리 인상도 고물가를 잡기 위한 소방수 역할을 톡톡히 했다. 연준은 지난해 중반까지 기준 금리를 5% 이상으로 상향했고 현재까지 금리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22년 6월 연간 7.1%까지 치솟았던 인플레이션은 현재 2.5%로 유지되고 있다.
다만 실질소득 증가와는 대조적으로 빈곤율과 소득 불평등은 크게 나아지지 않고 있다. 빈곤율은 지난해 11.1%로 전년(11.5%)보다 0.4%포인트 낮아졌지만, 아동 빈곤율은 13.7%로 1.3%포인트 늘어났다. 언론들은 2021년 5.2%로 급락한 아동빈곤율은 2022년부터 급증했는데 이는 팬데믹 기간 확대된 아동 세액 공제가 2022년에 만료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지난해 남성(3.0%)의 소득이 여성(1.5%)보다 더 많이 증가하면서 남녀 간 중간 소득 격차도 20년 만에 처음으로 확대됐다. 지니계수와 소득백분위수 비율로 측정한 소득 불평등은 2022년과 2023년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소득이 전반적으로 상승했지만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 소득격차가 줄어들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빈곤 전문가인 티모시 스미딩은 “사람들은 임대료를 더 많이 내고 있고, (국가로부터) 육아 지원을 덜 받고 있다”며 “중간 소득이 늘고는 있지만 실제로는 앞서 나가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법률 및 사회정책 센터의 임시 전무 이사인 올리비아 골든은 “빈곤을 낮추려면 두 가지 전략이 필요하다”며 “하나는 경제적 전략이고, 다른 하나는 핵심 프로그램과 안전망에 대한 투자”라고 강조했다.
<
박홍용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