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준비는 빠를수록 좋다-자녀가 어릴 땐 배움의 한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하버드 대학 입학사정관을 지낸 척 휴즈는 “어린 자녀가 마음껏 배우고 무럭무럭 자랄 수 있도록 부모가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며 “무엇이든 관심을 보일 때 기회를 놓치지 말고 그 분야를 깊게 파고드는 집요함이 요구된다”고 조언했다. 특히 자녀가 8학년이 되면 관심이 있거나 재능을 보이는 한두 가지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교육 전문가들은 말한다.
2. 일찍 저축을 시작하라-대학 학비는 매년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자녀를 사립대학에 보내기 위해서는 학비와 기숙사비, 식비 등을 모두 포함해 연 평균 2만7,516달러가 든다.
하지만 이는 전체 평균에 불과하다. 예일대학의 연 등록금은 4만1,470달러에 달하며 전반적으로 대학 등록금은 매년 6%씩 상승하는 추세다. 따라서 529플랜, 로스 IRA 같은 장기투자 상품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일찌감치 대학학비 마련에 나서야 한다.
3. 가족의 도움을 요청한다-자녀의 대학 등록금 충당을 위해서는 가족 또는 친척이 의외로 큰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매년 생일 또는 연말에 가족들로부터 선물을 받지 않고 대신 아이의 대학 학자금 조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물어본다. UPromise. com 같은 인터넷 웹사이트를 이용하면 데빗 또는 크레딧카드로 물건을 구입할 때마다 일정액을 자녀의 학비로 세이브할 수 있다.
4. 시험은 너무 많이 치르지 않도록 한다-명문대학 진학을 꿈꾸는 많은 학생들은 SAT I 같은 대입 학력고사에서 최고의 점수를 받아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시달린다.
하버드 입학사정관 출신인 척 휴즈는 “같은 시험은 3번 정도 치르는 것으로 족하다”며 “입학사정에서 지원자가 시험을 너무 많이 본 것으로 나타나면 오로지 높은 시험점수를 얻는 데에만 모든 역량을 집중했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휴즈는 이어 “SAT와 ACT 둘 다 치를 것을 학생들에게 권유한다”며 “수학과 과학에 강한 학생이면 ACT, 리딩과 작문에 강하면 SAT에서 더 좋은 점수가 나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5. 입학사정관을 열광시켜라-결론부터 말하자면 가장 중요한 것은 3가지다. 학교 성적, 이력서 및 자질이다. 휴즈는 “학업 성적이 상위 10% 안에 들고 가장 터프한 과목들을 수강하며 SAT 3과목 모두 700점 이상 받는 것은 기본이며 여기에 추가로 리더십과 열정을 확실히 보여줄 수 있는 과외활동과 에세이와 추천서를 통해 나만의 특별함을 나타내 보이면 아이비리그 대학에 합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