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T 발전위해 기초투자 늘려야’
▶ SF총영사관·BAKAS·KSEA SiV 공동주최
한국의 생명공학기술(BT)의 발전을 위해서는 한국 정부가 크고 화려해 보이는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보다 기본을 다지는 기초 지원에 충실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과 바이오 및 제약 분야 한인과학자 모임 BAKAS, 재미한인 과학기술자협회 실리콘밸리 지부(KSEA SiV) 공동으로 25일 열린 ‘제2회 창조경제포럼’에서 ‘과학간접자본 확충의 필요성과 항체데이터 베이스를 창조적 사업방안’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한 김윤철(제약회사 Pfizer 근무) 박사는 “한국 정부의 BT 투자가 화려해 보이는 큰 그림이 그려지는 것에만 집중돼 있다”며 “화려한 (BT)시장은 이미 죽어가는 시장”이라고 지적했다.
포스터시티 크라운플라자 호텔에서 가진 이날 포럼에서 김 박사는 또 “한 단계 한 단계 올라가는 기본에 충실한 성장이 중요하다”면서 “새로운 시장에 뛰어드는 게 innovation(혁신)이자 창조경제”라며 정부의 기초 BT 산업육성과 투자를 역설했다.
이어 대전에 위치한 신생바이오벤처기업인 파멥신(PharmAbcine)의 이상훈 박사가 ‘글로벌 펀딩 및 시장 진출 전략’에 대해 강연했다. 그는 2008년 세계적 제약회사인 스위스의 노바티스(Novartis)가 항암 항체 치료제 개발을 위해 파멥신에 100만달러를 투자했다고 소개하고 글로벌 기업과의 연계, 펀딩, 신생벤처기업의 경영 노하우 등을 설명했다.
강연에 앞서 한동만 SF총영사는 환영사를 통해 “BT에 그 나라의 미래가 달려 있다”며 “필요하다면 총영사관이 나서서 한국 및 미국정부의 BT 관계자들과 한인 과학자들을 연결해주는 심부름센터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는 BAKAS와 KSEA 회원외에 생명공학연구자 모임인 KOLIS 등 BT 관계자 60여명이 참석했다.
한편 BAKAS의 신임 회장으로 김용재 박사에 이어 한우석 박사가 임명됐다.
<김판겸 기자>
=======
25일 포스터시티 크라운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제2회 창조경제포럼’에서 이상훈 박사가 ‘글로벌 펀딩 및 시장 진출 전략’에 대해 강연하고 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