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철(목사/ 수필가)
‘대한민국’이라는 국호(國號)는 세계적으로 공인된 우리나라의 호칭이다. 이 공식적인 호칭 이외에 우리나라의 특징을 나타내는 아름다운 호칭들이 있는데 ‘배달 나라’ ‘삼천리금수강산’ ‘동방예의지국’이 그것이다. 땅 넓이는 비록 작지만 단일민족으로 이룩된 오천 년의 긴 역사를 지내오면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명실 공히 이름값을 하면서 세계열강들 가운데서 국위를 선양하며 오늘에 이르렀다.
차제에 이 시점에서 우리들 스스로 나라의 이름값을 제대로 하면서 살고 있는지 한번쯤 자성해 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동방예의지국!’ 과연 오늘의 대한민국은 그 이름에 한 점 부끄럼이 없는 것일까? 인간이 하등동물과 다른 점이 무엇일까?
앵무새는 어느 정도 사람의 말을 알아듣기도 하고 말을 하기도 한다. 영리한 침팬지를 잘 길들여서 사람의 옷을 입혀 행동을 하게할 것 같으면 사람의 흉내를 곧잘 낸다.
그러나 앵무새든 침팬지든 그들은 여전히 짐승이기 때문에 그들에게 윤리와 도덕은 없는 것이다. 짐승이 제아무리 재주를 부리고 인간 흉내를 낸다고 해도 그들에겐 양심도 도덕도 있을 수 없다. 이 점이 인간과 동물의 근본적인 차이점이다. 사람에게는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능력이 있고 양심이 있기 때문에 인간으로서 해야 할 도리가 무엇인지 알아 그 법도를 이행하며 살아가는 것이다.
어떤 이유에서건 그렇지 못할 때 그 사람은 이미 온전한 인간이 아니다. 그래서 옛 시조에도, “마을 사람들아 옳은 일 하자스라. 사람이 되어나서 옳지 곧 아니하면 마소에게 갓 고깔 씌워 밥 먹이나 다르랴!”고 했다. 겉모습은 사람인데 그 행동이 사람답지 못할 것 같으면 “짐승만도 못한 인간”이라는 지탄을 받게 되며 그런 자를 ‘인면수심(人面獸心)’이라고 말한다.
우리민족의 “미풍양속” 중 자랑할 만한 한 가지는 윗사람에 대한 예의범절이다. 이 사상은 오랜 전통으로 이어온 삼강오륜(三綱五倫)의 기본 사상이라 하겠다. 삼강(三綱)의 첫째는 ‘부위자강’ (父爲子綱)이고, 오륜의(五倫) 첫째는 ‘부자유친(父子有親)’인 것이니 모두가 다 윗사람에 대한 예의와 법도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사상이 말과 행동으로 표현됨이 예의범절이다. 그래서 아버지의 함자(銜字)가 무엇이냐고 질문을 받았을 때 아버지의 성함을 친구의 이름을 부르듯이 김 아무개 박 아무개라 말하지 않고 아버지의 함자를 한자 한자 따로 띄어서 아뢴다.(예컨대, 홍길동인 경우 “홍자 길자 동자 입니다.”) 그러한 미풍양속의 전통이 오랫동안 이어져 왔는데 언젠가부터 그 법도가 해이해지면서 버릇없는 언행들이 팽배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에서는 어찌하여 대통령에 대한 기본적인 예의범절이 전무하여 듣기에도 민망할 정도로 대통령을 폄하하고 심지어는 청와대에 쳐들어가자는 말을 서슴지 않고 해대니 이러고서야 무슨 동방예의지국이라 하겠는가! 이제라도 더 늦기 전에 망언을 일삼는 자들을 의법 처단함으로써 동방예의지국으로서의 대한민국의 국위를 개선하기 바란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