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광현(전 미 반도체I NSPEX사 엔지니어)
어른들을 잘 따른, 규칙을 잘 따른 이의 잘못인가? 업무에 태만하고 판단력, 책임감 없이 저만 살겠다고 도망쳐 나온 선장과 선원만 탓할 것인가? 우리는 과연 그 선장에게 돌을 던질 수 있을까? 그런 행동을 하도록 만든 것은 무엇인가?
미래에 한국을 이끌어 나갈 젊은이들에게 우리 기성세대는 과연 무엇을 보여주고 있는가? 규칙이나 법으로서는 아마 세계 최고라고 여러 번 자부하는 것을 들었다. 규칙이나 법이 없어서 그리된 것이 아니다. 이것을 기회로 또 여러 규칙을 만들면 거기에 기생하는 사람들이 살판나는 멍석을 깔아주는 것과 진배없다.
언제부터인지 법은 법이고 어떻게든 요령 있게 편법으로 잘 피해나가는 것이 세상사는 지혜라 여기는 것이 당연하고 법을 순진하게 지키는 사람은 세상물정 모르는 바보라고 비아냥거림을 듣는 사회가 되었다. 미국 등 선진국이 공공질서 및 법을 잘 지키고 본받아야 한다는 얘기를 많이 한다.
미국은 법을 어기면 거의 예외 없이 가혹한 제재가 따른다. 혹시나 편법으로 넘어가려고 하면 더 큰 제재가 기다리기 때문에, 즉 법을 안 지키면 각 개인에게 더 큰 불이익이 있기 때문에 지킬 수밖에 없는 것이다. 믿음이 가는 사회다.
법을 지키면 손해를 보는 것이 아니라 법을 안 지키면 손해를 본다. 불법으로 개축하고 초과적재하고 안전규정 안 지키고 자격 없는 선원으로 운행하도록 만드는, 그렇게 하는 것이 더 큰 이익이 되도록 주무관청은 묵인하고 오히려 조장한다. 아마 선장과 회사는 “다 그러는데 왜 나만 갖고 그래” 라고 억울해 할 것이다.
재수에 옴 붙어서 사고가 났다고 생각할 것이다. 이럴 때마다 사람들은 남 탓을 한다. 지도자를 탓하고 어떤 사람은 밑도 끝도 없이 북한 소행, 전라도 소행이라 한다. 또는 ‘너나 잘해’ ‘총체적 난국’이라 하며 얼버무리고 만다.
미래세대에 무엇이 옳은 것인지 보여줘야 한다. 법은 지켜야 되고 위반 시 가혹한 처벌이 반드시 따라야 한다. 그러나 이것에는 전제조건이 있다. 그렇게 일할 수 있는 지도자를 뽑아야 하고 그 지도자가 잘하는 지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이 되어 있어야 하고 무엇보다 그 지도자가 법을 잘 지키도록 해야 한다. 법을 안 지키는 지도자, 안 지켜서 이익 보는 사람들이 너무 많았기에 법을 지키면 손해라는 것이 상식이 되어버린 것이다.
이 모든 것은 궁극적으로 그런 지도자를 뽑고 감시하지 않은 국민들 책임이다. 남 탓으로 돌릴 수 없다. 왜 그런 지도자를 뽑았는지 왜 감시하지 못했는지, 왜 법을 안 지키면 이익이 되도록 만들었는지 국민이 ‘내 탓이요’ 하고 반성하고 그렇게 만들지 않도록 관심을 가져야 한다.
미국에서는 대통령 및 각종 선거에 그다지 관심이 없고 투표율도 저조하다. 왜 그러는가? 누가 되든 잘할 거라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 만약에 잘못했을 때 가혹한 처벌이 따르기 때문에 무서워서라도 못한다. 한국도 누가 되더라도 잘할 것이라는 믿음을 만들어야 한다.
지금 누리고 있는 명성과 부는 자기 혼자만 잘나서 그리 된 것이 아니다. 다 남의 도움이 있고 그렇게 될 수 있는 여건이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저 잘 낫다고 으스대기보다 더불어 사는 노블리스 오블리제(Noblise Oblige)를 실천해야 한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