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입 원치 않을 때도 Opt Out 선택해 반송해야
▶ 메디케어 A, B, D, 안과치료 등 새로운 혜택 많아
주치의 통해 전문의 만나는 번거로움이 단점
----------------------------
순서: 1 캘 메디커넥트는 어떤 제도이며 수혜자는 누구?
2 캘 메디커넥트 시행의 배경
3 캘 메디커넥트 가입 방법
4 캘 메디커넥트의 조건과 혜택 및 장단점
5 캘 메디커넥트의 사례와 유의할 점
---------------------------
가주 정부의 새로운 의료혜택 프로그램인 캘 메디커넥트 시범지역으로 북가주지역 2개 카운티(산타클라라, 산마테오 카운티)가 선정됐다. 하지만 시행일자부터 혼선을 주더니 캘 메디커넥트에 포함된 내용들은 노인들로서는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 대체적인 반응이다. 이에 캘 메디커넥트가 무엇이며 시행하게 된 배경, 수혜대상자, 캘 메디커넥트의 장단점들을 살펴보는 한편 사례들을 통해 좀 더 좋은 의료혜택을 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편집자주>
---------------------------
◆캘 메디커넥트의 조건과 혜택 및 장단점
캘 메디커넥트는 저소득층 및 장애인들에 대한 캘리포니아 주 정부가 의료비를 전액 부담하는 메디칼과 65세 이상의 시니어를 대상으로 연방정부가 의료비를 부담하는 메디케어(A, B) 자격이 있는 메디-메디 혜택을 보는 수혜자들이 가입하는 것이다.
지난 2010년 메디-메디 동시 수혜자는 캘리포니아 전체에서 112만 명이었으며 캘 메디커넥트로 옮겨갈 경우 100만 명 이상이 수혜대상이 될 것이라고 정부는 밝혔다.
하지만 하바지 컨설팅의 리안 맥도날드 부국장은 캘 메디커넥트는 자발적인 프로그램이므로 원하지 않을 경우 가입할 필요는 없다고 전했다. 가입을 원하지 않고 메디-메디를 계속 유지하고 싶을 경우에는 ①②⑤만 작성하는 ‘옵트 아웃(Opt Out)’을 선택해 반송하면 된다. 이와 함께 1-844-580-7272번 또는 TTY 1-800-430-7077번으로 전화해 알릴 수 있다. 물론 가입 후에도 탈퇴가 가능하다.
만일 캘 메디커넥트의 방식이 수혜자들에게 맞지 않는다고 생각될 경우 한 달 후 다시 원래의 시스템으로 바꿀 수 있다. 수혜자들의 희망에 따라 2개의 프로그램에서 월별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가입하고 싶어도 가입할 수 없는 조건을 가진 이들도 있다.
▲21세 미만이거나 발달 장애가 있는 경우 ▲지역 센터, 주 발달 센터나 DDS 면제 또는 ICF/DD를 통해 서비스를 받고 있거나 ▲본인의 메디칼 부담금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말기 신장 질환(End-Stage Renal Disease, ESRD) 환자(오렌지 및 샌마테오 카운티 제외) ▲부분적인 메디케어 혜택이나 퇴직, 재향군인 또는 개인 보험과 같은 기타 건강 보험 혜택자 ▲재향군인 거주 시설에 거주자 ▲요양 시설/급성 질환 병원, 거주 지원, 자택 내 운영 또는 자택 및 공동체 성인 대상 서비스 중 하나를 받을 경우 ▲에이즈 보건 재단(AIDS Health Care Foundation)에 가입된 경우 등이다.
그럼 캘 메디커넥트의 혜택은 무엇이고 장단점은 무엇일까?캘 메디커넥트의 혜택은 기존의 모든 메디케어 및 메디칼 혜택을 하나의 보험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약된 장소에서 카드 한 장만 제시하면 되는 것이다. 수혜자들 개인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하나의 혜택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영어가 불편한 한인들을 위한 통역프로그램도 운영되고 있다. 이와 관련 헬스 트러스트 노인건강 프로그램 매니저로 활동하고 있는 소나리 파나미(Sonali Parnami)는 “이 프로그램 자체가 매우 복잡하고 가장 큰 문제가 언어적인 문제”라면서 “하지만 수혜자들이 원할 경우 핫라인 연결을 통해 통역서비스를 해준다”고 밝혔다. 그러나 병원을 방문하기 전에 먼저 통역서비스를 신청하고 가야 한다는 애로점이 있다.
캘 메디커넥트의 장점은 메디케어와 메디칼이 제공하지 않았던 ▲메디케어 A, B, D ▲안과치료 ▲침술 ▲메디칼-LTSS(IHSS, CBAS, MSSP, 간호시설, 가정보건)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케어플랜 옵션 서비스를 통해 가정에 걷기 힘든 노인들을 위한 램프나 욕실에 샤워시 넘어지지 않도록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등을 설치하는 서비스는 제공되고 있다. 심지어 병원 방문 시 택시비도 HMO 회사의 혜택 커버리지에 따라서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반해 단점은 얼마나 많은 의료진이 캘 메디커넥트 프로그램에 가입하느냐의 문제다. 평소 진료를 받아오던 주치의가 이 프로그램에 가입하지 않을 경우 새로운 주치의를 선택해야 한다.
실제로 한인 의사들의 경우 캘 메디커넥트 가입을 꺼리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메디-메디처럼 자유롭지 못하고 캘 메디커넥트 가입자는 반드시 주치의를 거친 뒤 전문의를 만나야 하는 ‘HMO’ 방식으로 전환되어 번거로움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계속>
<이광희 기자>
이 기사는 SCAN 재단의 후원으로 실시되는 뉴어메리카 미디어 저널리즘 펠로우십의 일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