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건스탠리·JP모건 “15% 더 오른다”… ‘성급한 장밋빛’ 비판도
'2년 만에 최악의 한주'를 겪은 미국 뉴욕증시가 비교적 안정을 되찾은 흐름이다.
12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주요 주가지수들은 1~2%대 상승세를 보였다.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500포인트(2.1%) 안팎의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지수도 1%대 오르고 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장중 7,000선을 웃돌았다.
시장의 변동성이 다소 줄어들면서 뉴욕증시의 추가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는 낙관론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모건스탠리의 마이클 윌슨 투자전략가는 이날 "올해 중순까지 S&P500 지수가 15%가량 오르면서 3,000선에 도달할 수 있다"면서 "약세장으로 돌아서기에 앞서 마지막 희열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JP모건의 존 노먼드 투자전략가도 지난 주말 고객들에게 S&P500 지수의 연간 목표치로 3,000을 제시했다. 노먼드는 "주가지수는 고점에 이르지 않았고 연말까지 15% 추가 상승할 수 있다"면서 금융주 매수를 추천했다.
'기술분석의 대가'로 꼽히는 랠프 아캄포라는 트윗을 통해 "주가가 바닥에서 벗어나고 있다"면서 "지난 금요일(9일)의 회복세는 나에게 그런 확신을 심어줬다"고 말했다.
지난주 뉴욕증시는 두 차례 1,000포인트 낙폭을 기록했지만, 9일엔 330.44포인트(1.38%) 오름세로 마무리한 바 있다.
증시의 '뇌관'으로 작용했던 채권시장에 대해서도 비교적 긍정적 의견이 나왔다.
채권시장은 초장기 강세장(채권금리는 하락)을 이어왔지만, 최근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치솟으면서 강세장이 끝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의 제프 로젠버그 채권팀장은 C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30년 강세장이 끝났다고 말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면서 "최근의 채권금리 상승세가 계속 이어질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그렇지만 아직은 시장의 불안이 여전하다는 신중론이 적지 않다.
'상품투자의 귀재'로 불리는 짐 로저스는 지난 9일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다시 약세장을 맞을 때 그것은 우리 생애에서 최악이 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