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산업 ‘편파’하는 중국, 통 큰 인센티브 등 제공 육성
▶ 한국 TV 예능 베껴도 발뺌만, 한국 대응 미숙, 업계 속앓이
차이나머니’를 무기 삼아 글로벌 무대를 휩쓰는 중국 문화 콘텐츠 기업의 배경에는 정부의 든든한 뒷배가 자리 잡고 있다.
지난 2010년 ‘12차 5개년 계획(2011~2015년)’에 문화 산업을 포함해 중장기 발전 로드맵을 제시한 중국 정부는 최근 들어서는 자국의 문화·역사에 대한 자부심을 소재로 삼은 콘텐츠를 직접 지원하며 문화상품을 통해 ‘중화주의’를 전파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대표적인 것이 중국 정부가 2016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차이나 드림’ 프로젝트다.
이 사업은 ‘중국의 역사를 기반으로 중국의 핵심 역량을 전파하는 애니메이션’을 5년(2016~2020년)에 걸쳐 총 100편을 선정해 작품당 300만위안(약 4억9,100만원)을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작품당 지원금액은 그리 크지 않지만 정부가 중화주의를 고취하는 콘텐츠를 육성하기 위해 총 3억위안을 쏟아붓기로 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사례다.
이달 3~6일 중국 상하이 푸동 국제전람센터에서 열린 ‘제18회 차이나 조이(China Joy)’ 박람회에서도 중국 정부의 방침에 순응해 중국 문화와 역사를 결합한 콘텐츠들이 대거 선보였다.
중국 최대의 디지털 콘텐츠 박람회로 애니메이션·게임·웹소설·e스포츠 등 각종 문화상품을 전시하는 이 행사에서 올해 ‘신서유기: 몽키킹의 부활’이라는 애니메이션을 원작으로 삼은 게임 데모 영상이 처음으로 공개됐고 중국의 고대 악기에서 모티브를 얻은 게임인 ‘고악풍화록’이 소개된 부스는 길게 늘어선 줄 때문에 입장에만 40~50분이 소요될 만큼 비상한 관심을 모았다.
문화 산업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은 통이 크고 편파적이다. 중국은 2009년 ‘중국문화산업진흥계획’을 통해 문화 산업을 11번째 국가전략산업으로 승격한 뒤 2010년 내놓은 12차 5개년 계획에 △10대 도시 공연장 건설 △연예 산업 발전자금 운영 △문화산업단지 육성 △애니메이션 산업 지원 △세계 10대 게임 기업 육성 등의 중장기 발전 방향을 담았다.
<
나윤석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