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곁에 계속 머물 것인가, 아니면 본인의 정치적 미래에 승부를 걸 것인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복심’으로 꼽히는 마이크 폼페이오(사진·AP) 국무장관이 거취를 놓고 내심 딜레마에 빠진 모양새이다.
공화당 지도부로부터 ‘홈그라운드’인 캔자스주 연방상원의원 선거 출마를 계속 요청받고 있는 상황이어서다.
캔자스주에서 연방하원의원으로 정계에 입문, 중앙정보국(CIA) 국장을 거쳐 지난해 3월 국무장관으로 발탁된 폼페이오 장관은 행정부 내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신임을 받는 몇 안 되는 최고위 참모로 꼽힌다. 미북 간 비핵화 협상을 비롯한 이란 등 외교 사안을 총괄하며 트럼프 대통령을 지근거리에 보좌하고 있다. 동시에 차차기인 2024년 대선의 잠룡으로 꼽히는 등 ‘정치적 야망’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25일 ‘마이크 폼페이오의 딜레마’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미래의 대권 도전을 향한 길을 닦을 수 있는 상원의원 출마 문제를 조용히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폴리티코는 “폼페이오 장관은 공화당 입장에선 상원의원 선거의 필승카드인 동시에 항상 붕괴 직전에 있는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 그나마 가장 안정적인 국가 안보 분야 목소리의 역할을 해왔다”라며 “이것이 폼페이오 장관 및 그 진영으로선 큰 딜레마”라고 전했다.
내년 11월3일 대선일에는 임기 6년의 상원의원 중 3분의 1도 동시에 뽑게 되는데 캔자스도 여기에 포함된다.
폼페이오 장관은 몇달 안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가장 신뢰받는 ‘보좌역’으로 남을 것인가 아니면 자신의 대권 출마의 발판이 될 수 있는 캔자스 상원의원 출마로 방향을 틀 것인지에 대한 결단을 내려야 하는 상황이라고 폴리티코는 보도했다.
폴리티코는 실제 공화당 정치인 가운데 폼페이오 장관만큼 야심이 크고 ‘수직상승’ 가능성이 높은 사람도 몇 안 된다며 만약 그가 상원의원 출마를 결심한다면 이는 2024년 대선 출마를 위한 서곡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널뛰기하는 트럼프의 뒤치닥거리는 그만 하고 독자적인 길을 가라. 공화당의 희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