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옥스팜, 다보스포럼 맞춰 보고서
▶ 지난 2년간 창출된 부 42조 달러…이 중 상위 1%에 26조 달러 돌아가
나머지 99% 금액의 2배 가까워… 팬데믹 기간 부익부 빈익빈 심화 “부유·횡재세 도입 불평등 해소를”

15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리는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연차총회를 하루 앞두고 시위대가 시위하고 있다. [로이터]
지난 2년(2020~2021)의 팬데믹 기간 새로 창출된 부(富)의 63%가 상위 1%인 ‘슈퍼리치(초고액 자산가)’에게 돌아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들이 차지한 금액은 나머지 99%에게 돌아간 금액의 2배에 가까웠다.
반면 전 세계 17억 노동자의 임금 상승률은 물가 상승률에 못 미치는 등 서민의 삶은 더 어려워졌다. 팬데믹을 거치며 부의 양극화가 극단적인 수준에 도달했다는 뜻이다.
국제구호개발기구 ‘옥스팜(Oxfam)’은 다보스포럼 개막일인 16일(현지시간) ‘슈퍼리치의 생존(Survival of Richest)’ 보고서를 통해 “부의 축적과 빈곤율이 25년 만에 최초로 동시에 증가하고 있다”며 심화된 불평등에 대한 문제의식을 드러냈다.
옥스팜 분석에 따르면, 지난 2년간 전 세계에서 42조 달러의 새로운 부가 창출됐고 이 중 26조 달러(63%)가 세계 상위 1% 슈퍼리치에게 돌아갔다. 나머지 99%의 몫은 16조 달러에 불과했다. 특히 하위 90%가 새로 창출된 부에서 1달러를 벌기 위해 힘쓰는 시간에 상위 1% 억만장자의 재산은 약 170만 달러씩 늘었다.
부자들의 재산은 지난해 식품·에너지 산업의 수익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급증했다. 지난해 식품·에너지 비용이 훌쩍 뛰면서 해당 업종 기업 95곳은 전년의 2배를 넘는 이익을 거뒀다. 이들이 부유한 주주들에게 나눠 준 추가이익에 대한 배당만 2,570억 달러(약 317조2,408억 원)에 달한다.
미국과 영국, 호주에서는 극심한 인플레이션이 해당 기업들에 집중된 과도한 이익 때문이라는 이야기도 나왔다. 약자에게 치명적이었던 식량·에너지 위기가 최상위층에게 천문학적인 돈을 벌어다 준 것이다.
하지만 억만장자들의 재산이 이처럼 급증하는 동안 노동자와 서민의 생활은 더 어려워졌다. 전 세계 노동자 17억 명의 지난 한 해 임금 상승률은 물가 상승률에 미치지 못해 향후 식품·난방비조차 감당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됐다. 세계 인구 10명 중 한 명꼴인 8억2,000만 명 이상은 굶주림에 시달리는 것으로 분석됐다.
옥스팜은 코로나19로 인한 △보건 △고용 △고립 등 사회문제에 경제위기가 겹쳐 서민과 노동자층에 더 큰 타격을 줬다고 분석했다. 세계은행(WB)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불평등과 빈곤이 가장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우려했다.
가브리엘라 부커 옥스팜인터내셔널 총재는 “억만장자들이 더 똑똑하거나 일을 더 열심히 해서 재산이 늘어난 것이 아니다”며 “코로나19와 에너지, 식품가격 상승으로 ‘횡재’를 한 이들에 대한 증세로 자금을 확보해 위기 계층을 도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