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수당 된 후 15번 투표 끝에 의장 선출돼…親트럼프·對中 강경파
▶ 부채한도 확대 합의·임시예산안 등 극한 대립보다 타협의 정치 보여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 [로이터=사진제공]
3일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해임된 하원의장이라는 불명예를 안게 된 공화당 케빈 매카시 의원은 취임 때부터 '반란의 주축'인 당내 강경파와 악연이 얽히고설켜온 인물이다.
캘리포니아가 지역구인 그는 캘리포니아주립대 재학 중 빌 토머스 의원실에서 인턴을 하며 정치권에 발을 들였고, 이후 토머스 의원의 보좌진으로 15년간 의회에 몸담았다.
2002년 캘리포니아 주의회 의원에 당선됐으며 2006년 토머스 의원의 은퇴로 공석이 된 캘리포니아 22선거구에서 하원 의원에 출마, 현재까지 9선 고지에 올랐다.
2014년 하원 진출 8년 만에 원내대표로 선출돼 주목받았으며, 2018년 다시 원내대표로 뽑혀 지난해 중간선거 승리에 기여했다.
2015년에는 차기 하원 의장으로 유력했으나 공화당 주도로 설치된 하원 벵가지특위가 당시 유력한 민주당 대선주자였던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을 사실상 겨냥한 것이라고 말한 게 논란이 돼 경선을 포기해야 했다.
2016년 공화당 대선 후보 경선 당시부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을 지지해 한때 호위무사로 평가받기까지 했지만 2020년 의사당 난입 사태를 거치며 트럼프 전 대통령과 한때 거리를 뒀다.
올해 초 하원의장 선거 당시에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에도, 당내 강경파들의 '몽니'로 15번의 투표 끝에 간신히 하원 의사봉을 잡게 되며 일찌감치 악연을 예고했다.
그는 야당인 공화당 소속 하원의장으로서 여당인 민주당이나 백악관과 극한 대립보다는 대화와 타협의 정치를 중시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난 6월 조 바이든 대통령과 연방정부 부채한도 확대를 놓고 공화당이 끝없는 대립을 이어가던 중 전격적으로 합의안을 도출해, 가까스로 연방정부 디폴트(채무불이행) 사태를 피해 갔다.
이례적으로 드문 '윈윈' 협상으로 평가받는 부채한도 합의안은 미 대선 이후인 2025년 1월까지 연방정부 부채한도 적용을 유예하는 대신 올해 10월부터 시작되는 2024 회계연도에 비국방 분야 지출을 동결 수준으로 유지하고 국방 분야 지출은 3% 가량 증액하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매카시 전 의장의 이런 태도는 당내 강경파의 주요 공격대상이었다.
내년도 예산안 협상 국면을 맞으면서 강경파들이 목소리를 크게 내기 시작했고, 매카시 의장이 이들에게 휘둘렸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2024 회계연도 예산안 심사에서 공화당은 정부 예산 대폭 삭감 및 국경예산 부활, 국방부 진보 예산 삭감 등을 요구하며 셧다운(연방정부 기능 마비) 사태 일보 직전까지 물러서지 않는 모습을 보여 왔다.
공화당 소수 강경파들은 일찌감치 해임결의안 카드로 매카시 의장에게 엄포를 놓아왔고, 그로 인해 미국 정계에선 매카시 의장의 운신의 폭이 크지 않은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이 과정에 매카시 의장은 전격적으로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하원의 탄핵조사를 지시하기도 했는데, 예산안 협상에서 강경파를 달래기 위한 조치라는 해석을 낳기도 했다.
그는 2023 회계연도가 종료하는 지난달 30일 우크라이나 지원 예산을 제외하고 정부 예산을 동결한 45일짜리 임시 예산안을 극적으로 처리하며 셧다운 사태를 피하는 일등 공신이 됐다.
하지만, 결국 그 후폭풍에 휘말려 당내 강경파 의원이 제출한 해임결의안이 가결되면서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하원의장 자리에서 해임되는 크나큰 정치적 내상을 입게 됐다.
일각에서 공화당에 차기 하원의장감으로 적절한 후보가 없다는 대안부재론이 나오면서 그가 향후 하원의장 선거에 다시 나설 가능성이 거론되기도 하지만 현재로서는 미지수다.
1965년생인 그는 자신을 "소 목장 주인의 손자이자 소방관의 아들로 태어나 노동자 가정에서 자랐으며 근면한 미국인들의 아메리칸 드림을 보존하고 장려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소개한다.
그는 하원의장이 된 후 중국 문제를 다루는 특위를 구성하는 등 중국에 강경한 목소리를 내온 대(對)중국 강경파로 분류된다. 대만 방문을 추진했다가 바쁜 의회 일정으로 성사되지 않자 지난 4월 미국을 경유한 차이잉원 대만 총통과 캘리포니아에서 회동하기도 했다.
그는 농업이 중요한 지역구 의원이라 미국산 소고기 수출 확대로 이어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