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미여성화가 3인전 DC 국립여성미술관서 열려
캐나다, 미국, 멕시코를 무대로 활동했던 20세기 북미여성화가 3인의 전시회가 워싱턴 DC의 국립여성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다.
’그들의 자리: 에밀리 카, 조지아 오키프, 프리다 칼로’라는 제목의 이 전시회는 20세기 미술계의 세 여성 거장을 한데 아우르는 최초의 기획으로, 이미 토론토와 산타페에서 관중 동원 기록을 깨뜨린 바 있다. 미술관측도 많은 관객들이 몰려 들 것을 예상, 통상 5달러이던 입장료를 8달러로 올렸을 정도이다.
이번에 출품된 62점의 작품은 미국에선 거의 선보이지 않았던 것들로, 1, 2차 세계대전 사이에 전성기를 맞았던 이들 북미 여성 미술가들의 작품세계와 삶을 엿볼 수 있다. 에밀리 카(1871-1945)는 캐나다, 조지아 오키프(1887-1986)는 미국, 프리다 칼로(1907-1954)는 멕시코에서 각각 활동했다.
에밀리 카는 강렬하고 열정적인 캐나다 열대 우림과 그녀의 내면세계와의 혼합된 그림들로 관객을 사로잡고 있는 반면 조지아 오키프는 자연에 대한 그림으로 눈길을 끌고 있다. 초현실적인 정물화 등 희귀 작품을 포함한 15점을 출품한 프리다 칼로는 자화상과 동물· 정물에 대한 그림으로 멕시코에 대한 자존심과 내면의 세계를 내보이고 있다.
전시회에는 에밀리 카의 1931년작인 ‘큰 갈가마귀’, 1929년작인 ‘하이다 마을’, 조지아 오키피의 1936년작인 ‘붉은 언덕’, 1929년작인 ‘분홍과 회색의 참 나뭇잎’, 프리다 칼로의 1938년작인 ‘원숭이와의 자화상’, 1947년작인 ‘태양과 생명’ 등 자연과 문화를 주제로 한 작품이 소개됐다.
이번 전시회를 맡고 있는 샤린 우달 전시회 큐레이터 책임자는 7년전 오키프와 카의 공통점에 착안하면서 비롯된 이 전시회는 "오키프가 산타페의 알록달록한 언덕과 고지대 사막을 그렸듯이, 카는 캐나다 서해안을 그렸다"고 설명한다. 오키프나 카가 미술을 통해서 자신의 국민성을 표출하는데 관심을 가졌다는 사실은 멕시코적인 것을 표출하려고 노력한 칼로를 같은 전시회에 포함시키도록 만들었다.
우달 큐레이터의 연구는 최근 출간된 책 ‘카, 오키프, 칼로: 그들의 자리’(예일대 출판)와 이 순회전시회로 결실을 맺었다. 전시회는 책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자연’ ‘문화’ ‘대중 속에 표출된 자아’라는 세 개의 주제로 기획된 것으로 작가간의 공통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 세 여성이 이번 전시회를 봤다면 반응이 어땠을까. 우달큐레이터는 이렇게 말한다. "오키프는 싫어했을 겁니다. 공동전시회를 좋아하지 않거든요. 칼로는 이런 일에 신경 쓰기엔 너무 아플 것 같구요. 카는 이런 전설적인 대가들과 함께 전시회를 갖는다는 것에 흥분했을 같습니다. 자기도 그런 대가가 됐다는 것도 모르고 말이지요."
오키프와 칼로는 둘 다 나이가 훨씬 많은 유명한 예술가와 결혼해서 명성을 쌓는데 도움을 받았다. 그렇지 못했던 카는 죽기 10년 전에야 겨우 주목을 받았는데, 이는 런던의 테이트 갤러리에서 열린 캐나다 화가들의 전시회 덕분이었다.
전시회는 오는 5월12일까지 계속되며 6월15일부터 9월15일까지는 밴쿠버 미술관에서 열린다.
입장료는 성인은 8달러, 학생과 시니어 시티즌은 6달러, 18세이하의 청소년은 무료.
▲주소: 1250 New York Ave. NW. Washington DC 20005-3920.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