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한국서도 여러 대학에 동시지원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미국서는 옛날부터 복수지원제가 실시되어왔기 때문에 한 학생이 여러 대학에 입학원서를 낼수 있다. 고등학교 3학년초에 치는 PSAT (Preliminary Scholastic Aptitude Test)나 그후에 치는 SAT의 성적이 아주 우수한 학생은 수많은 대학에서 자기 학교에 지원하라는 편지를 받게된다. 따라서 일류대학은 입학 경쟁률이 보통 10대 1이 넘는다. 그러나 나중에 복수합격자들이 빠져나가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각 대학은 합격자 외에 우수한 학생들을 wait-list(웨이틀 리스트) 즉 대기자 명단에 올려놓는다.
대학에 합격하는 것은 get admitted(겟 어드밋티드)라 하고, 불합격되는것은 get rejected(겟 리젝티드), 대기자 명단에 오르는 것은 get wait-listed(겟 웨이들리스티드)라 한다. receive a thin envelope(리씨이브 어 띤 엔벌로프)도 “불합격 통지서를 받는다"는 뜻이 되는데, 불합격자는 보통 불합격 통지서 한 장만 달랑 받기 때문에 편지봉투가 얇아서 생긴 말이다.
Bill: How many schools have you applied to, Tom?
Tom: All of the top 20 colleges.
Bill: What’s the result?
Tom: I got admitted to three, got rejected by 12, and got wait-listed by five.
빌: 너 몇 학교에 입학원서를 냈니?
탐: 최우수 20개교 전부.
빌: 결과는 어떻게 됐니?
탐: 3개교에서 합격, 12개교에서 불합격, 5개교서는 대기자 명단에 올랐어.
A: David received a thin envelope from Harvard.
B: Really? A high school valedictorian with a SAT score of 1510 got rejected? I can’t believe it.
A: 데이빗이 하바드대학에 원서를 냈다가 딱지를 맞았어.
B: 정말이야? SAT 점수가 1510점이나 되는 고교 수석졸업생이 불합격이라니 믿어지지 않는데.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