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 사실만 알려졌을 뿐 실체는 전해지지 않아 베일에 가려 있는 거북선의 원형을 보고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고서화가 16일 공개됐다. 이 고서화는 가로 1.4m, 세로 2.39m의 대형 비단천에 거북선 등이 정박해 있는 군항을 실경으로 묘사해 놓았다.<김재현 기자>
가로 1.76m 세로 2.39m 크기 ‘3층 거북선’ 상세 묘사
최고 1640년대 제작 추정...사료 연구 획기적 가치
존재 사실만 알려졌을 뿐 실체는 전해지지 않아 베일에 가려 있는 거북선의 원형을 보고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고서화가 뉴욕 한인에 의해 발굴, 16일 공개됐다.
거북선의 모습은 역사서 가운데 이충무공전서(1795년 출간)에만 대략적인 스케치로 그려져 있고 몇몇 민화 형태로 전해오긴 했지만 사실적으로 묘사한 고서화가 발견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이 고서화는 지금까지 학계에서 극소수 학설로 알려진 3층으로 거북선을 그려놓아 눈길을 끌고 있다.
거북선 4척과 지원 선박 등이 정박해 있는 군항 모습 등을 담은 이 고서화는 왼쪽 하단에 거북선 제원을 기록한 흔적도 남아 있어 앞으로 추가 연구를 통해 거북선을 원형에 가깝게 복원할 수 있는 결정적 사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고서화는 롱아일랜드 소재 서진무역 윤원영 사장이 메릴랜드에 거주하는 미국인 소장가 엘리자벳 마우리 여사로부터 지난해 1월 구입, 조지아주 아틀란타에 보관해 오다 16일 뉴욕한국일보에 공개했다.
평양숭실학교 초대 교장을 역임한 데이빗 마우리 선교사의 손주 며느리인 마우리 여사에 따르면 이 그림은 1867년(메이지 유신시대) 일본 니이가타현 인근 나가오카 성벽을 허물 때 처음 발견된 것으로 지난 1970년 일본골동품반출협회의 허가를 받아 미국에 반입됐다.
재미한국고미술연구가인 최영래씨는 최근 조지아대학(University Of Georgia)에 의뢰해 질량가속편광분석(AMS) 방식의 방사선 탄소연대 측정 결과, 그려진 연대가 1950년을 기준해 250±60년으로 최대 1640년대까지 추정됐다. 이 고서화는 임진왜란(1592∼1595년) 후 거북선 기지창을 직접 보고 그린 실경화로 보인다며 이번 거북선 고서화 공개로 지금까지 논쟁이 되고 있는 거북선에 대한 연구와 복원 작업에 획기적인 실마리를 제공할 수 것으로 기대된다고 평했다.
가로 1.76m, 세로 2.39m 크기로 2장의 대형 비단천에 그려진 그림은 거북선 4척과 판옥선 1척, 소형선 7척 등과 장수들이 작전회의를 하는 모습, 병사들이 무기를 점검하는 모습, 평상복 차림의 민간인들이 보급물자를 나르는 모습 등이 회화적 수법으로 세밀하게 처리돼 있다.
또 거북선이 3층 구조로 묘사돼 있는 것을 비롯 윗등이 원형에 가까운 타원형을 띠고 있는 것과 윗 등에 걸어다닐 수 있는 길이 그려져 있는 등 거북선 외관 모양을 놓고 벌여왔던 학자들의 엇갈린 주장을 처음으로 확인시켜주고 있다는 점에서 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서체가 바래 육안 해독은 불가능하지만 왼쪽 하단에 일본으로 반출된 후 일본사학자가 ‘해동편(역)사’에서 발췌해 써놓은 것으로 추정되는 거북선 제원이 기록돼 있어 적외선 촬영 등 현대과학을 동원해 판독이 이뤄질 경우 거북선의 완전 복원도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와 함께 쇠뇌 발사기와 총, 포, 선박 소화기, 폭약을 장착한 창 등 당시 사용하던 무기와 깃발 및 방패에 그려진 귀면도 등 다양한 종류의 무늬도 사료적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채색은 그림을 처음 그릴 당시 사용했던 석채(광물성 물감)가 용머리, 방패, 깃발 등 일부분에 남아 있으며 나머지는 일본에 건너간 뒤 색깔이 바래지자 나중에 입힌 것으로 추정되는 수채물감으로 덧칠해져 있는 부분과 덧칠이 안돼 먹물 선만 남아 있는 부분으로 구분돼 있다.
소장가 윤원영 사장은 이번 공개로 거북선에 대한 정확한 규명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거북선 제작 시기
거북선 기지도의 정확한 제작시기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올 6월 조지아대학(University Of Georgia)부설 ‘동위원소실험실’(Center for Applied Isotope Study)에서 실시한 ‘질량가속편광분석’(AMS) 방식에 의한 방사선 탄소연대 측정 결과, 그려진 그림 연대가 1950년을 기준연도로 해 250±60년으로 나와 상한연대가 최고 1640년까지 거슬러 올라 갈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시기는 1592년∼1599년까지 진행된 임진왜란 종전 후로 조선시대 중기 인조 즉위 기간이다. 따라서 실험결과에 따른 거북선 그림은 1795년(정조 19년) 출간된 ‘이충무공전서’에 수록돼 있는 거북선모형도 보다 150여년 앞서게 된다.
1970년 일본에서 마우리 여사가 미국으로 반입해 올 당시 일본골동품반출협회의 고증학자들이 실시한 감정 연대는 1820∼1770년도로 나왔으나 이 결과는 육안으로 실시한 것인 만큼 조지아대학의 연대 측정보다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평이다.
<김노열 기자>nykim@koreatimes.com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