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주요지수 7~9% 폭락..’블랙먼데이’이후 최악
유가.금.구리 등 원자재가도 수요감소 우려 급락
(뉴욕 브뤼셀=연합뉴스) 김현준 김영묵 특파원 = 미국과 유럽 증시가 15일 금융위기에 이어 세계적인 경기침체 엄습에 대한 두려움 속에 폭락했다.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1987년 10월 ‘블랙먼데이’ 이후 최악의 하루를 기록했다.
미국과 유럽 등 각국이 금융기관이 자본을 직접 투입하는 등 금융위기 해소를 위한 공조에 나선 이후 리보(런던은행간 금리)가 하락세를 지속하는 등 자금경색이 일부 완화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지만 실물경제의 타격으로 경기침체가 되돌릴 수 없는 현실이 됐다는 우려가 금융위기 대책의 약발을 단숨에 사라지게 한 결과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733.08포인트(7.87%) 하락한 8,577.91을 기록했고, 나스닥 종합지수는 150.68포인트(8.47%) 떨어진 1,628.33을,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90.17포인트(9.03%) 떨어진 907.84를 기록했다.
다우지수와 S&P 500지수의 이날 하락률은 블랙먼데이 때의 22.6% 이후 가장 컸다. 다우지수의 이날 하락폭은 지난달 29일 미 하원이 7천500억달러의 구제금융안을 부결시켰을 당시 사상 최대인 778포인트 폭락했던 것에 이어 역대 두번째 기록이다.
유럽의 주요 증시도 폭락세를 보였다.
영국 런던의 FTSE100 지수는 7.16% 하락한 4,079.59로 마감했으며 프랑스 파리의 CAC40 주가지수는 6.82% 하락한 3,381.07로 장을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DAX 주가지수도 6.49% 떨어진 4,861.63으로 마감, 하루 만에 다시 5,000 밑으로 주저앉았다.
브라질 상파울루 증시의 보베스파 지수도 11.39% 폭락했다.
이날 미.유럽 증시는 각국 정부가 금융위기 해결을 위해 금리인하 공조, 은행에 자본 투입 등 초강수를 두고 있지만 소비와 기업활동이 위축되는 등 경제의 엔진이 꺼져가는 신호음이 곳곳에서 들려 경기침체를 기정사실화하면서 지난 이틀간의 ‘기대’가 ‘두려움’으로 급선회, 갈수록 낙폭을 키웠다.
이틀전인 13일 다우지수가 사상최대인 900포인트 넘게 오르는 등 주요 증시가 폭등했던 기세는 순식간에 사라졌다.
특히 미 상무부가 이날 발표한 9월 미국의 소매판매가 1.2% 감소해 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면서 1991년 이후 17년만에 처음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인 것이 경기침체에 대한 투자자들의 공포를 고조시켰다.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도 이날 뉴욕의 연설에서 금융시장이 희망대로 안정을 찾는다 하더라도 더 광범위한 경기 회복은 바로 나타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해 경제의 어려움이 상당 기간 이어질 것임을 인정했다.
FRB가 이날 내놓은 경기동향 보고서인 ‘베이지북’도 지난달 경제활동이 소비 및 기업활동 위축 속에 거의 모든 지역에 걸쳐 둔화됐고 전반적 경제전망도 훨씬 어두워졌다고 밝혔다.
경기침체 공포를 반영하듯 미.유럽 증시에서는 세계 경제성장과 관련된 실물경제 주들이 급락세를 주도했다.
뉴욕증시의 경우 산업전반에 쓰이는 알루미늄을 제조하는 알코아는 12.8% 떨어졌고 설비 제조업체 캐터필러는 11.4%, 석유 메이저 엑손모빌는 13.9% 떨어졌다.
유럽에서도 런던증시의 세계적인 광물 채취기업 카자크미스는 22%, 앵글로 아메리칸은 20%에 떨어졌다. 파리증시의 세계 최대 철강업체 아르셀로 미탈은 14%, 자동차업체 르노도 13%씩 하락했고 프랑크푸르트증시의 독일 최고의 제조업체 지멘스도 14% 추락했다.
경기침체의 공포로 유가와 구리 등 원자재 가격도 추락세를 지속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1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5.2% 급락한 배럴당 74.54달러에 거래를 마쳐 13개월 최저치를 기록했다. 런던 ICE 선물시장의 11월 인도분 북해산 브렌트유도 4.9% 떨어진 배럴당 70.87달러를 기록했다.
12월 인도분 구리가격은 7.7% 떨어진 파운드당 2.2105달러에 거래돼 5월5일 최고치에서 48%나 떨어졌다.
금 가격도 내려가 12월 인도분이 50센트 떨어진 온스당 839달러를 기록했다.
19개 원자재로 구성된 로이터’제프리스 CRB지수는 이날 4.5%까지 떨어지며 2005년 2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추락, 경기침체에 따른 원자재가의 급락세를 반영했다.
june@yna.co.kr
(끝)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