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상과부의 며느리로 시집온 어머니는 그렇게 건강한 편이 아니었습니다. 노상 속 앓이에 가슴 앓이에 시력도 별로 신통찮은 외동딸 이었습니다. 그래도 그 며느리가 항상 고마운것은 손주들을 줄줄이 낳아 당신 외아들의 뒤를 이을 자손이 많아 졌다는 것으로 행복해 했습니다. 그렇다고 아홉이나 낳은 손주들이 다 잘 자란것도 아닙니다. 막내야 해방후에 낳았지만 모두 일제시대에 낳았기때문에 산모나 아이나 제대로 먹지못해 태어난 지 일주일 만에도 죽고 한달 만에도 죽고 어떤애는 서너살되어서 죽고 아홉중에 잃은 손주가 넷이나 되었습니다. 그러다가 6.25 사변으로 청년이 채 되지 않은 손자를 생사도 알수없이 잃고 말았습니다. 그 손자를 기다리느라 할머니는 피난도 가지않고 혼자 집을 지키셨습니다. 나까지 피난가면 그애가 집에 돌아 왔을때 그 마음이 어떻겠느냐고 하시면서. 넷 남은 손주들을 돌보는 할머니의 사랑은 극진했습니다.
차가운 생계란을 밤새 가슴에 품었다가 새벽일을 나가는 큰 손자에게 아래 위를 쇠 젓가락으로 퐁 뚫어 구멍을내어 따뜻하게 먹여 보내며 할머니의 하루는 시작 되었습니다. 어쩌다 아버지가 우리에게 화가나서 주먹이라도 불끈쥐면 앞치마폭으로 가리며 “차라리 날 때리게 응 날 때려” 하며 막아서는 할머니의 마음을 아무도 아프게 할수는 없었습니다. 돌아가시기 전날까지 전차 정류장에 나와서 기다리다가 내가 전차에서 내리기가 무섭게 책가방을 빼앗듯이 낚아 채어 가지고 먼저 집으로 오시던 할머니- 친구들 보는데 챙피하다고 방정을 떨어도 아랑곳 하지않고 무거운 책가방을 들고 오는 손주가 안타까워 그냥 집에서 기다릴수 없었던 할머니-
그 할머니가 돌아가신지 오십년이 되었는데 아직도 그 할머니가 그립습니다.
어느덧 내게도 손주가 다섯이 되었습니다. 이놈은 이래서 이쁘고 저녀석은 저래서 이쁘고- 손주를 좀 봐달라는 부탁이 들어오기가 무섭게 “오케이” 하고 달려 갑니다. 왜냐하면 조금더 자라면 그들은 날 찾을 필요가 별로 없을지도 모릅니다. 오히려 “할머니 우리가 좀 바빠서…” 더 자라기 전에, 내가 필요하다고 할때 기쁜 마음으로 즐거운 마음으로 달려가는 내 핏속에는 아마도 우리 할머니의DNA 가 얌전히 도사리고 있나 봅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