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 ‘새의 선물’ 등을 쓴 베스트셀러 작가 은희경씨가 머서 아일랜드에 약 2년간 체류했었다. 중견 언론인인 남편과 두 10대 자녀 등 온가족이 자그마한 셋집에 살며 주말엔 친지들과 어울려 등산을 즐겼다. 머서 아일랜드가 조용해서 글쓰기 좋다고 했는데, 막상 새 작품을 쓸 때는 ‘더 조용한 곳’에 혼자 방을 얻어 몇 달씩 틀어박혔었다.
은씨보다 2년쯤 먼저인 2003년엔 ‘시늉인생(Gesture Life)’으로 ‘40세 미만 미국 베스트 작가 20인’ 명단에 이름을 올린 한인2세 작가 이창래씨가 시애틀 중앙도서관 초청으로 독자와 만남의 자리를 가졌었다. 오리건대학 석사출신인 이씨는 이 소설에서 2차 세계대전 당시 조선인 종군위안부들에 가해진 일본 군인들의 만행을 낱낱이 고발했다.
마치 강우량과 비례하듯 독서인구가 많아 미국의 대표적 문향(文鄕)으로 꼽히는 시애틀에 모레(11일) 저녁 또 한명의 유명문인이 온다. 박경리 세대의 올드타이머 한인들에겐 낯선 이름이지만 요즘 한국에선 은희경씨보다, 미국에선 이창래씨보다 더 크게 뜨는 코리안 작가이다. 장편 ‘엄마를 부탁해’로 일약 글로벌 작가의 반열에 올라선 신경숙씨다.
신씨는 이 소설의 영문판인 ‘Please Look After Mom’의 판촉 사인회를 11일 저녁 7시 시애틀의 대표적 토박이서점인 캐피털 힐의 엘리엇베이 북 컴퍼니에서 갖는다. 이창래씨도 8년전 이 서점(당시엔 파이오니어 광장에 소재)에서 독자들과 만났었다. 어쨌든, 미국 내 7대 도시 홍보투어에 나선 신씨가 시애틀을 출발지점으로 삼았다는 점이 흐뭇하다.
‘엄마를 부탁해’는 2008년 말 출간돼 지금까지 한국에서 무려 170만부나 팔렸다. 영문판도 지난 5일 미국의 대표적 문학출판사인 노프가 초판으로 10만부를 발간했다. 이미 3,000부를 추가로 찍은데 이어 3판을 준비 중이다. 한 번도 실려지기 어려운 뉴욕타임스 서평란(북 리뷰)에 두 번이나 소개됐다. 황석영씨와 안정효씨에 이어 한국작가로는 세번째다.
안정효씨는 영어를 썩 잘했다. 월남전 파병기간동안 영자신문 코리아타임스에 ‘전장일기’를 장기 기고한 것이 인연이 돼 제대 후 기자로 특채됐다. 한참 후 그 신문사에 입사한 필자는 안씨가 미국소설 한권을 며칠 안에 번역해내는 것을 보고 입을 다물지 못했다. 그는 얼마 안가서 기자에서 소설가로 전환, 월남 참전경험을 배경으로 ‘하얀 전쟁’을 썼다. 자신이 직접 번역한 이 소설의 영문판 ‘White Badge’가 1989년 뉴욕타임스에 소개됐었다.
물론, 신씨의 신데렐라 같은 성공은 작품이 좋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른 중요한 성공요인이 숨어 있다. 원작 못지않게 우수한 번역이다. 한국문인들이 노벨문학상을 못 받는 이유는 훌륭한 번역가가 없기 때문이라는 말을 흔히 듣는다. 우수한 한국문학 작품이 많지만 번역가 부재로 세계문단에 소개되지 못했다. 자질 있는 번역가는 지금도 매우 드물다.
‘엄마를…’의 번역자는 놀랍게도 한국의 전문번역가가 아닌 LA의 여변호사 김지영(30)씨다.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보는 1.5세다. 김씨의 번역은 ‘원래 영어로 쓰인 것처럼 미국인 독자들에게 매끄럽게 읽힌다’는 찬사를 듣는다. 그녀에겐 이미 ‘빛의 제국’(김영하), ‘혀’(조경란) 등 미국 출판사로부터 직접 의뢰받아 번역한 한국 문학작품이 여러 개 있다.
신씨의 시애틀 방문이 경하스럽지만 한인부모들은 자녀교육 차원에서 신씨보다 김씨에게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미국에서 자라는 자녀들이 신씨처럼 한글로 소설을 쓰기는 어렵다. 그렇다고 이창래씨처럼 영어로 쓰기도 쉽지 않다. 그러나 신씨의 책을 영어로, 이씨의 책을 한글로 번역하는 일은 본국인들보다 유리할 수 있다. 바로 김씨가 그 증거이다.
자녀에게 변호사나 의사가 되라고 다그치는 건 구태다. 김씨는 변호사 일을 집어치우고 번역가로 더 출세했다. 한국의 위상이 높아질수록 번역가는 더 필요하다. 체력이 국력이라는 건 20세기 때 얘기고 지금은 번역이 국력인 시대다. “번역을 잘하면 나라가 커지고 나라가 커지면 번역 일이 더 많아진다”는 말을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