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F주택가 상승여파*IT산업 활기
▶ 에머리빌*오클랜드*산호세*뉴왁 상승
더블린*오린다*사라토가*밀브레 하락
====
지난해 베이지역 9개 카운티 집값이 6.0% 올랐지만<본보 19일자 A1면 보도> 도시별로 큰 편차를 보였다.
SF시 주택가격과 임대료 상승으로 알라메다카운티 집값이 전년대비 12.1% 상승했다. 특히 에머리빌은 2014년 11월 42만5,000달러였던 주택중간가가 2015년 11월 60만5,000달러로 42.4%가 껑충 뛰어 부동산시장의 핫한 지역으로 떠올랐다.
알라메다도 2014년 65만1,000달러였던 중간가가 1년만에 27.1% 상승한 82만7,250달러로 주택시장이 활기를 띄었다. 뉴왁도 53만1,00만달러에서 66만달러로 중간가가 뛰어 24.3%의 상승을 보였다.
주택판매 거래량이 높았던 오클랜드(303채)는 48만달러에서 55만달러로 14.6%, 프리몬트(173채)는 66만달러에서 77만2,000달러로 17%, 리버모어(129채)는 58만5,500달러에서 64만2,000달러로 9.6% 올랐다. 특히 저소득층 주택이 들어설 예정인 샌리앤드로도 주택중간가가 16.7% 뛰었다.
올해 말 샌리앤드로 바트역 근방에 완공예정인 115유닛의 마레 알타 아파트에는 약 1만7,000여명이 몰려든 상태로 4인가정소득 2만6,500달러-5만600달러이면 신청 가능하며 임대료는 493-1,155달러로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IT산업 활기로 주택난이 가중되는 산타클라라카운티도 지난해 집값이 10.3% 올랐다. 이중 명문학군으로 꼽히는 쿠퍼티노 집값이 141만7,500에서 170만달러로 19.9% 뛰었고 로스가토스도 136만3,500달러에서 1년뒤 168만5,000달러로 23.6% 올랐다.
IT회사들이 몰려있는 산호세는 총 698채가 거래돼 산타클라라라 1년 총거래량(1,370채)의 절반을 차지하며 9.8% 집값이 상승했고 마운틴뷰 7.3% 올랐다. 한인밀집지역인 서니베일은 14.0%, 밀피타스는 5.3%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집값이 11.7% 뛴 콘트라코스타카운티는 베이지역 중 상대적으로 낮은 주택가로 인해 바이어들이 몰리면서 부동산거래가 활발했다. 특히 콩코드는 120채가 거래되면서 집값이 12.5% 뛰었고 앤티옥이 126채 판매되면서 집값이 10.7% 상승했다. 리치몬드 역시 103채가 매매되면서 14.2% 집값이 올랐다.
그외 허큘레스 37.5%, 피츠버그 20.8%, 산파블로 23.7%, 마티네즈 19.3%로 1년전보다 집값이 뛰었다. SF카운티 집값은 105만달러에서 115만달러로 1년동안 9.5% 올랐고 산마테오카운티 애서톤은 74.9%, 산카를로스 30.9%, 레드우드시티 31.6%, 이스트팔로알토 26%, 사우스샌프란시스코 15.9%, 댈리시티 14.9% 올랐다.
나파카운티의 세인트헬레나와 욘트빌도 각각 집값이 1년전보다 52.2%, 50%로 대폭 상승했다.
반면 집값이 하락한 도시로는 마린카운티의 티뷰론 27.2%, 알라메다카운티의 알바니 19.5%, 더블린 9.3%, 산타클라라카운티의 사라토가 17.0%, 몬트레이카운티 퍼시픽그로브 9.7%, 콘트라코스타 오린다 9.6%, 산마테오카운티 밀브레 8.3% 등인 것으로 조사됐다.
<
신영주>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