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기지 유예 종료되자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코로나19 당시 제공됐던 모기지 페이먼트 유예조치들이 속속 종료되고 모기지 이자율 급증에 따른 모기지 페이먼트가 늘면서 전국 주택 차압건수가 다시 증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귀했다.
부동산 정보업체 아톰이 최근 발표한 전미 차압 주택 리포트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전국 차압 주택은 9만2,634채(NOD, REO 등 모두 포함)로 전분기 및 전년동기 대비 각각 3%와 104% 증가했다. 9월 한 달만을 세분하면 총 3만1,836채로 직전월 대비 8%줄었지만 전년동기 대비로는 62% 늘었다.
주별로는 일리노이가 694채 중 1채 비율로 전체 50개 주 중 제일 높았고 델라웨어(825채 당 1채), 뉴저지(855채 중 1채), 사우스 캐롤라이나 (599채 중 1채) 그리고 오하이오(1027채 중 1채) 순이었다. 캘리포니아는 1,326채 중 1채 비율로 전체 12위였다.
차압의 시작을 뜻하는 통보(Notice of default, 이하 NOD)는 총 6만7,249채로 8월에 비해 1% 증가하는데 그쳤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로는 167%나 늘면서 팬데믹 이전 수준까지 돌아갔다.
주별 증가율은 오클라호마(80%), 테네시(74%), 버지니아(64%), 아칸소(53%) 그리고 워싱턴(50%) 주의 차압이 크게 증가했다. 차압 완료(REO)건수는 3938채로 7월 대비 28%, 2021년 8월 대비 59% 늘었다. 지역별로는 캘리포니아(7,368채), 플로리다(6,671채), 텍사스(6,217채), 일리노이(4,702채) 그리고 뉴욕(3,997채)의 차압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인구 100만 이상 도심 지역 중에서는 뉴욕(4,621채), 시카고(3,950채), LA(2,275채), 필라델피아(1,991채) 그리고 마이애미(1,990채)의 NOD가 많았다.
올해 3분기 현재 REO는 1만515채로 전분기 및 전년동기 대비 각각 18%와 39% 증가했다. REO 최다 지역은 일리노이 1.331채, 미시건 729채, 뉴욕 695채, 펜실베니아 643채, 오하이오 557채로 나타났다.
2022년 3분기 현재 차압 시작에서 마무리까지 걸리는 시간은 885일, 전분기 948일, 전년동기 924일 대비 단축됐다.
부동산 경제학자들은 “정부의 각종 모기지 페이먼트 유예조치가 끝나며 그간 밀려 왔던 과정이 빠르게 진행되며 나타나는 결과”라고 우려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쏘다지는매물...척척..반값....그러다가 반에반값......그때사세요..크하하하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