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든 의회 국정연설
▶ “자유와 민주주의 수호…낙태권 입법 추진할 것”
조 바이든 대통령은 7일 연방의회 합동회의 국정연설을 통해 미국의 ‘위대한 컴백(comeback)’에 대한 비전을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밤 9시(동부시간) 연방의회에서 행하는 연설에서 “나는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힘든 시기 중 하나를 헤쳐나가기로 결심하며 취임했다”며 “수많은 도시와 마을에서 미국인들은 전에 듣지 못한 가장 위대한 컴백 스토리를 쓰고 있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대선 당선 직후 ‘미국이 돌아왔다’(America is back)는 메시지를 전 세계에 타전한 바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이날 국정연설에서 “미국의 컴백은 미국인의 가능성의 미래, 중산층으로부터의 경제, 하향식이 아닌 상향식 경제를 만들고 있으며, 미국 전역과 모든 미국인에 투자하고 있다”며 이는 “모든 사람이 공정한 기회를 갖고 누구도 방치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라고 말했다.
또 임신 6개월까지 여성의 낙태권을 인정했던 ‘로 대 웨이드’ 판결이 재작년 대법원에서 폐기된데 대해 “미국인들이 만약 내게 ‘선택의 권리’를 지지하는 의회를 만들어 준다면 나는 ‘로 대 웨이드’를 이 땅의 법률로서 회복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로 대 웨이드 판결 폐기는 트럼프 행정부 시절 도널드 트럼프 당시 대통령의 잇따른 보수 성향 대법관 지명으로 연방 대법원이 보수 우위로 급격히 재편되면서 가능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내 인생은 내가 자유와 민주주의를 포용하도록 가르쳤다”며 정직, 품위, 존엄성, 평등, 모두에 대한 존중, 모두에 대한 공정한 기회 부여, 증오에 대한 배척 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내 세대의 일부 다른 사람들”은 “분노와 복수, 보복의 미국인 이야기를 본다”면서 “그것은 내가 아니다”라며 자신과 대선에서 맞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을 간접적으로 겨냥했다.
‘대통령은 수시로 의회에 연방의 상황을 보고하고, 필요하고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시책의 심의를 의회에 권고해야 한다’는 헌법 2조 3항에 근거를 둔 국정연설은 대통령이 국정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고 국정 운영의 방향을 밝히는 자리다.
한편 이날 연설에는 임신 기간 중 거의 모든 단계에서 낙태를 금지하는 텍사스의 주 법 때문에 비상 상황에서 낙태를 거부당한 케이트 콕스가 게스트로 참석했다. 두 아이의 어머니인 콕스는 작년 8월 임신한 셋째가 염색체 이상에 따른 치명적 유전 질환이 있다는 진단을 받고 낙태를 결심한 뒤, 예외적인 낙태 시술을 허용해 달라는 소송을 제기했으나 텍사스주 대법원에 의해 거부당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