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글지원 힘입어 급속도 확산
▶ 게임.지도.골프관련 앱 인기
스마트폰을 구입하는 한인 중장년층이 늘고 있다. 어디서나 쉽게 인터넷이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16일 플러싱에서 한 한인이 스마트폰을 보고 있다. <사진=곽성경 인턴기자>
스마트폰을 구입하고도 전화 기능만 사용한다면 당신은 구세대다. 스마트폰의 꽃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기 때문이다. 어플리케이션이란 한마디로 응용프로그램이다. 노트북과 데스크탑 등 컴퓨터에서 사용하던 소프트웨어를 스마트폰에 설치해 언제 어디서든 실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어플 또는 앱(App)이라고 줄여서 부르기도 한다.
■ 중, 장년층까지 번진 스마트폰 열풍
뷰티서플라이 업계에 종사하는 60대 중반의 김인찬씨는 요즘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 재미에 푹 빠져있다. 지난해 12월 친구 2명과 함께 안드로이드 폰을 구입한 뒤 만달 때마다 서로 다운로드 받은 앱을 자랑하고 추천받은 앱을 즉석에서 설치해보기도 한다. 김씨는 “왜 젊은이들이 스마트폰, 스마트폰 하는지 사용해보니까 알겠더라”며 “이젠 일반 전화기 다시 사용하지 못할 것 같다”고 말한다.
10대~20대 젊은 층과 30~40대 전문직 한인 사이에서 스마트폰은 이미 대세가 된 지 오래지만 50대 이상 중,장년층까지 스마트폰 이용이 빠른 속도로 번지고 있다. 플러싱 겨레텔레폰의 한 매니저는 “한인 중장년층의 스마트폰 구입이 크게 늘고있다”며 “이들은 실제로 20대보다 높은 경제력을 지닌 계층이기 때문에 업계로서는 블루 오션 고객층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30대 이하에서는 여전히 아이폰이 가장 많이 팔리고 중, 장년층들은 갤럭시를 선호한다. 이처럼 중, 장년층 스마트폰 사용이 늘어난 가장 큰 이유는 한글지원 기능 때문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으로 각종 뉴스를 보고, 게임을 즐기는 중장년 한인들의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 인기 있는 애플리케이션
연령을 불문하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카카오톡(kakaotalk)이 대세다. 특히 전화기를 이용한 채팅 경험이 처음인 장년층에게는 한국의 지인과 실시간 무료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카카오톡이 마냥 신기하다. 채팅 뿐 아니라 사진, 동영상, 연락처 등 멀티미디어 주고받기도 거뜬하다. 소개된 지 불과 1년도 안된 카카오톡은 한국에서만 600만명 이상이 가입했고 약 100만명으로 추산되는 해외 사용자의 대부분은 미주 한인이 차지하고 있다.
한인 남성사이에서는 골프캐디미(golfcaddy.me), 골프로직스(gologics) 등 각종 골프 관련 앱의 인기가 높다. 현재의 위치와 공의 거리, 방향을 측정해 주며 무료에서 9달러사이의 저렴한 가격이기 때문에 기존의 골프 GPS에 비해 몇배는 저렴한 가격이다. 무료로 받을 수 있는 튠인(Tunein)를 설치하면 미 전국의 수천개 라디오 방송을 들을 수 있을 뿐 아니라 MBC, CBS 등 한국의 방송 수십개도 청취가 가능하다. 디지털 방송이기 때문에 일반 수신기보다 음질도 뛰어난 것이 장점이다. 미국내 가장 인기있는 무료 앱은 페이스북이다. 게임으로는 ‘Angry bird Lite’이 10대는 물론 성인 이용자들에게도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박원영 기자>C1
<미국내 무료 앱 Top 10>
순위 이름 장르
1 Facebook 소셜네트워킹
2 Angry Bird Lite 게임
3 Word with Friends Free 낱말 게임
4 Skype 인터넷 전화
5 Tap Tap Revenge 음악 엔터테인먼트
6 Weather Channel 날씨 뉴스
7 Paper Toss 게임
8 Bing 검색
9 Rock Band Free 음악 엔터테인먼트
10 Talking Tom Cat pet 기르기
<한국의 무료 앱 Top 10>
순위 이름 장르
1 카카오톡 소셜네트워킹
2 레인보우캘린더 달력
3 Talking Tom Cat pet 기르기
4 Retina Wallpaper 엔터테인먼트
5 푸딩얼굴인식 사진 엔터테인먼트
6 Viber Free phone call 소셜네트워킹
7 TV 맛집 생활
8 네이버 포탈사이트
9 1km-Butterfly 소셜네트워킹
10 환생테스트 엔터테인먼트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