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발효되는 한미FTA…한인들에 직접적 영향은?
한미 FTA의 영향은 한인들의 식당에서 시작된다. 라면과 장류, 과일류 등의 관세가 즉시 철폐되면서 가격 인하 효과가 예상되고 있다. 한인 식품도매업체들도 한국산 식품 수입에 발빠르게 나서고 있다. 한인마트에서 실시됐던 한국산 식품 특판전의 모습.
김치.라면.버섯.된장,.고추장 가장 큰 혜택
인삼.홍삼 등 건강식품 시장도 커질 것
한국과 미국의 자유무역협정(FTA)가 15일 발효된다. 뉴욕 한인사회에서는 식품도매업계와 의류섬유업계가 한미 FTA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어있다. 한인식품도매업계는 무엇보다 한국산 식품의 미주 진출과 가격 인하 효과를 기대하면서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반면 한인 의류섬유업계는 현재 중국 등에 집중돼 있는 수입선 변경에 조심스러운 입장이며, 즉각적인 혜택보다는 FTA에 따른 점진적인 효과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순서>
상. 한국산 식품 가격 하락 기대
하. 의류섬유업계는 관망 추세
현재 100여가지의 한국산 식품을 한인 상권에 유통시키고 있는 SB 코어아메리카 엔터프라이즈의 이병채 사장은 한미 FTA 발효로 앞으로 한국산 식품의 유통량과 종류가 2배정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사장은 “현재 취급하고 있는 식품은 깻잎과 고춧가루, 해삼, 멍게, 미숫가루 등인데 이중 상당수가 관세가 철폐, 한미 FTA 협상의 혜택을 볼 것”이라며 “관세 철폐가 가격경쟁력으로 이어지는만큼 물량과 종류를 지금보다 많이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버섯과 김치의 관세가 높아 유통 가격을 매기기가 만만치 않았는데 10-20%에 달하던 관세가 이번에 철폐돼 다행이다”라고 말했다.
한미 FTA 발효를 앞두고 뉴욕 일원의 한인마트 담당자들도 무척 바쁘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거의 매주 한국산 특산품전이 열리고 있는 한인마트들에는 요즘도 전라도와 충청도 등 특산품을 판매하는 수입업자들의 전화가 일주일에 서너통씩 걸려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지영 한양마트 플러싱점장은 “특판전을 열자는 수입업자들의 문의가 줄을 잇고 있다”라며 “15일 발효를 앞두고 물건이 들어오기 전에 시장을 미리 뚫으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FTA가 발효되면 한인마트내 한국산 제품에 대한 의존도가 현재보다 3배까지 증가할 것이라고 관계자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또 실소비자 가격면에서도 상당한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박병열 관세사는 “관세 철폐가 한국산 식품 가격 인하로 이어져, 중국산 및 현지 생산 식품과의 가격차이가 줄어들게 된다”라며 “원산지에서 판매지까지의 유통경로가 짧아지고 관세 철폐로 가격이 떨어질 뿐아니라 인삼과 홍삼 가공식품 등 한국산 건강식품까지 폭넓게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 농식품부에 따르면 한미 FTA 발표 후 미국에 수입되는 한국산 농산물 수출액 중 82%의 관세가 즉시 철폐된다고 분석했다. <표 참조> 가장 큰 이득을 보는 국내 농산품으로는 김치와 라면, 삼계탕, 된장 및 고추장과 함께 아이스크림 등이 꼽혔다. 김치의 경우 FTA 발효후 11.2%의 관세가 즉시 철폐되고, 라면과 삼계탕, 된장, 고추장에 부과되는 6.4%의 관세도 없어진다. 아이스크림도 5년내에 20%의 관세가 철폐된다. 껌과 간장은 현행 4%, 3%인 관세가 각각 즉시 철폐되며 초콜릿도 5년내 3.5%의 관세가 철폐된다. 저장처리 된 굴 등도 현행 4.7%에서 무관세로 10내 바뀌게 된다.
이밖에도 인삼차 등 인삼함유식품 관세 6.4%, 인삼음료 리터당 0.2센트, 엑즙 엑기스 관세 1% 등도 즉시 철폐된다.이같은 한국산 식품의 관세 철폐는 한국산 기업의 미국 진출 확대로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인삼공사의 한 관계자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생산되는 인삼과 경쟁하기위해 미국이나 캐나다 현
지에 한국 인삼공사 지사를 설립할 예정"이라며 "관세가 많이 풀리는 만큼 다양한 식품관련 회사들이 제품 경쟁력을 위한 미국내 마케팅 전략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연방국제무역위원회는 최근 한미 FTA를 포함한 모든 제품의 관세율 표를 공개했다. 자세한 관세율은 국제무역위원회 웹사이트(www.usitc.gov)의 Tariff Affair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희은 기자>
<한미 FTA 발효후 주요 한국산 식품의 관세 변동사항>
항목 현행관세 변경내용
김치 11.2% 철폐
라면, 삼계탕, 된장, 고추장 6.4% 철폐
아이스크림 20% 5년내 철폐
껌 4% 철폐
간장 3% 철폐
초콜릿 3.5% 철폐
냉동 돼지목살과 갈비살 25% 2012년부터 관세 감축, 2016년 1월1일 관세 철폐
김 6.4% 철폐
배 kg당 0.3%
비스킷류 4.5% 철폐
수프 및 죽 3.2% 철폐
막걸리 리터당 3센트 철폐
제조담배 kg당 1.05달러+2.3% 7년후 철폐
굴 4.7% 10년후 철폐
버섯 kg당 8.8센트+20%, 철폐
빙과류 kg당 50.2센트+17.0%, 또는 20.0% 철폐
사탕 5.6% 즉시철폐
빵 제조용 재료 8.5% 철폐
고춧가루 등 고추류 kg당 5.0센트 철폐
C1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