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호황 이끌어” VS “소득불평등 심화돼”
▶ 세금감면책으로 트위터 등 IT기업 유치에 성공
주택중간가 66만달러에서 116만달러로 뛰어
11월 3일 선거, 재선 당선 무난할 듯
11월 3일 샌프란시스코 시장 선거에서 에드 리 현 시장이 재선에 성공할 것인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경합을 벌이는 켄트 그래엄, 프란시스코 헤레라, 리드 마틴, 스튜어트 숴프맨, 에이미 파라 웨이스 등 5명의 후보를 따돌려야 리 시장은 2기 행정에 나설 수 있다. 그러나 정치평론가들은 시장출마설이 떠돌던 마크 레노 주상원의원의 불출마로 리 시장의 재선을 위협할 만한 인물은 없다고 평하고 있다.
11일 SF크로니클은 5년간 리 시장의 행정을 다방면으로 평가하는 특집을 발행했다. 2011년 1월 개빈 뉴섬 SF시장이 가주 부주지사로 나서면서 그의 잔여임기를 채우는 임시 시장(interim mayor)으로 시의회의 임명을 받은 리 시장은 그해 11월 시장 선거에서 당선돼 4년간 행정을 이끌어왔다.
중국계로 처음 SF시장직에 오른 근 5년간 동성결혼 허용, 비닐봉지 사용금지 등의 정책을 실행했고 샌프란시스코를 IT산업의 중심지로 형성해 경제 르네상스기를 구현하고 있다.
2011년 경기침체로 68억달러 예산에서 380만달러의 적자가 예상되자 전면 예산삭감, 세수 증가 등으로 2015년 시 예산을 86억달러로 올렸다. 리 시장이 세금감면 등으로 트위터의SF 유치를 성사시킨 이후 우버, 에어비앤비, 핀테레스트, 드랍박스 등 수많은 신생기업들이 SF로 몰려들면서 샌프란시스코 가치가 급등했다.
그러나 임대가격 상승으로 인한 저소득층 퇴출, 악화되는 노숙자 문제 등이 골칫거리가 되어왔다. 코리 쿡 전 USF 정치학과 교수는 “활발한 경제동력으로 도시가 호황을 누리고 고소득자가 늘어났지만 경제적 압력과 주거 불안을 느끼는 이들도 상당하다”면서 “샌프란시스코를 상징했던 문화적 다양성과 자유의 느낌이 상당히 변화됐다”고 지적했다. 쿡 교수는 “한달도 채 남지 않은 선거기간 리 시장이 불안 심리로 위축된 주민들을 어떻게 끌어들이느냐가 관건”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SF는 미 주요도시 중 소득불평등 격차가 가장 빠르게 심화되는 도시가 됐다. 최근 센서스 통계에 따르면 SF 백인의 평균가계소득은 2011년 이래 10만4,300달러로 14% 오른 반면 흑인은 같은기간 2만9,500달러로 5% 하락했다.
제인 김 수퍼바이저는 “소득불평등 해소는 분명 가장 시급한 문제 중 하나”라며 “도시가 건강하고 다양해지기 위해서는 시 정부가 이를 해결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미 샌프란시크로를 대표했던 장난감가게, 목재상들이 가파르게 치솟는 임대료를 견디지 못하고 폐쇄했거나 타주로 이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취임초부터 일자리 창출을 부르짖었던 리 시장의 정책에 힘입어 기술뿐 아니라 관광, 건축, 헬스케어등 전 부문이 호황을 누려 2011년 9.4%였던 실업률이 2015년 3.6%로 하락, 캘리포니아 58개 카운티 중 마린과 산마테오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이처럼 경기 활황이 이어지자 도시의 부동산 시장도 요동쳤다. 2011년 SF 주택중간가는 66만달러에서 2015년 116만달러로 81% 올랐다. 파라곤부동산회사에 따르면 라티노 미션 디스트릭 주택가는 이기간 143% 뛰었고 베이뷰 흑인 주택가는 11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줌퍼부동산회사 통계에 따르면 SF 1베드룸 아파트 중간렌트비는 3.530달러, 2베드룸 4,900달러로 미전역에서 가장 렌트비가 높은 도시가 됐다.
이로 인해 퇴거률로 덩달아 높아졌다. SF렌트보드 통계에 따르면 2010년 3월-2011년 2월 퇴거통지수가 1,370건이었으나 2014년 3월-2015년 2월 2,120건으로 뛰었고 올 3월-6월 803건에 이르렀다.
한편 리 시장의 재임기간동안 공공치안도 비교적 안정을 이뤘던으로 평가됐다. 10년전 샌프란시스코 연 100건에 이르는 살인사건이 발생했으나 2011년 이후 급격히 하락, 50건으로 줄었고 지난해도 45건에 달했다. 그러나 폭력범죄는 하락한 반면 자동차도난, 절도 등 재산범죄는 2010년 이래로 47% 증가했다.
이밖에 구글 등 IT회사들의 서틀버스 정차로 주민들의 반발과 마찰을 불러일으켰으나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도로 개선, 뮤니 개선 등을 이뤄온 것으로 알려졌다.
<신영주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