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이스라엘 옹호로 난항 예상…안보리 ‘팔레스타인 보호’ 결의안 논의
▶ 유엔 인권기구, 아랍연맹 잇단 긴급회의…”이스라엘 ‘전쟁범죄’ 가능성”
팔레스타인 시위 지속…이스라엘군 발포로 이틀간 60명 사망
팔레스타인 자치령인 가자지구에서 일어난 대규모 유혈참극에 대한 국제사회의 분노가 커지고 있다.
이스라엘군이 미국대사관의 예루살렘 이전에 항의하는 팔레스타인 시위대에 15일(현지시간)까지 이틀 연속 발포해 모두 60명이 숨지고 2천800여 명이 다쳤다.
아랍권은 '대학살', '전쟁범죄'라고 부르며 이스라엘을 맹비난했으며 영국, 프랑스, 러시아 등 주요 강대국은 우려를 표명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비롯한 국제기구에서는 이번 유혈사태 논의에 나섰다. 그러나 가자지구를 통제하는 무장정파 하마스의 탓으로 돌리는 이스라엘과 미국의 태도 때문에 책임 추궁과 대책 마련이 쉽지 않아 보인다.
유엔은 가자지구 사태와 관련, 15일 안보리 긴급회의를 소집했지만 관련국들의 입장이 팽팽히 맞서 아무런 결론을 내지 못했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리야드 만수르 유엔주재 대사는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이 자행한 끔찍한 대학살을 가장 단호한 어조로 규탄한다"며 이스라엘의 군사작전 중단과 국제적인 조사를 요구했다.
반면 대니 다논 유엔주재 이스라엘대사는 "(이스라엘과 팔레이스타인) 접경지에서의 모든 희생은 하마스의 전쟁범죄 희생자들이며, 모든 죽음은 하마스의 테러활동 결과"라면서 "시위가 아닌 폭동이었다"고 반박했다.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 대사는 "테러조직인 하마스는 미국이 이스라엘 주재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옮기기로 결정하기 오래전부터 폭력을 선동해왔다"며 이스라엘을 옹호했다.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인 쿠웨이트는 팔레스타인 보호를 촉구하는 결의안 채택을 위해 초안을 마련 중이다. 그러나 결의안을 표결에 부쳐도 미국의 거부권 행사가 예상된다.
유엔 인권이사회(UNHRC)는 오는 18일 특별회의를 열어 가자지구 인권 악화 상황을 논의한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이 회의 개최는 팔레스타인과 아랍에미리트(UAE)의 요청에 따른 것으로, 26개국의 지지를 받았다.
사우디아라비아가 주도하는 아랍연맹(AL)도 17일 긴급회의를 소집한다. 이 회의에서 이스라엘 주재 미국대사관의 예루살렘 이전에 대한 대처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고 신화통신이 전했다.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는 이스라엘군의 무력 사용을 '끔찍한 폭력'이라고 비판했다.
루퍼트 콜빌 OHCHR 대변인은 이스라엘이 국제법에 따른 국경 방어 권한을 갖고 있지만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국경 장벽에 접근했다는 이유로 무력을 쓰는 것은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유엔의 팔레스타인 인권조사관 마이클 린크는 이스라엘의 무력 사용이 전쟁범죄에 해당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 대변인은 "가자지구에서 발생한 폭력과 인명 손실 보도에 대해 우려한다"며 예루살렘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공동 수도로 인정하는 '두 개 국가 해법'으로 양측 충돌을 종식할 것을 거듭 주문했다.
장이브 르드리앙 프랑스 외교장관은 이스라엘에 무력 사용 자제를 촉구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교장관은 미국의 예루살렘 대사관 이전을 비판하며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대화 중재 용의를 밝혔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설전을 벌이고 터키는 앙카라 주재 이스라엘대사를, 이스라엘은 예루살렘 주재 터키총영사를 서로 추방하는 일도 벌어졌다.
에르도안 대통령이 "이스라엘은 테러국가"라고 비난하자 네타냐후 총리는 "에르도안은 테러와 살인의 전문가"라고 맞받았다.
가자지구 접경지역에서 지난 6주일간 벌어진 반이스라엘 시위로 팔레스타인 주민 107명이 사망하고 1만1천 명가량이 부상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팔레스타인 의료관료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스라엘 측 사상자는 보고되지 않았다.
지난 14일 이스라엘군의 발포로 58명이 숨진 것은 2014년 7월 이스라엘이 가자지구를 집중 폭격한 이후 일일 사망자로는 가장 큰 인명피해였다. 15일에는 사망자들 장례 때문에 시위 규모가 줄었으며 2명이 이스라엘군의 총에 맞아 죽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트럼프 정부의 외교 정책에는 찬성하지 못하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