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인즈 인수 펜클 등 39명 인생 담은 수필집
▶ 27일 SF차이나타운 시티칼리지서 출판기념회

‘혼혈한인: 우리들의 이야기’ 책표지
혼혈아란 정체성으로 고통받으며 주변을 서성일 수밖에 없던 혼혈한인(Mixed Korean)의 목소리가 담긴 수필집이 출판됐다.
오는 27일(토) SF 차이나타운 시티칼리지에서 열리는 출판기념회에서 이 책의 작가들은 혼혈한인으로 겪었던 슬픔과 좌절, 용기와 강인함 등을 소개할 것으로 보인다. ‘혼혈한인: 우리들의 이야기(Mixed Korean: Our Stories)’에는 한국전 혼혈아의 비극적인 유년의 삶을 그린 ‘고스트 브라더(Memories of My Ghost Brother)’의 하인즈 인수 펜클(Heinz Insu Fenkl), 다트머스대 교수로 재직중인 소설가 알렉산더 치(Alexander Chee), 핼프코리안의 정체성을 다룬 단편 ‘Any Other Place’를 펴낸 오하이오주 데니슨대학 교수 마이클 크롤리(Michael Croley) 등 작가를 비롯해 패션디자이너, 시인, 교수, 기자 등 39명의 글이 실렸다. 혼혈가수인 인순이의 딸 재스민 박씨도 참여했다.

이 책에는 39명의 혼혈한인들이 참여했다.
‘기지촌의 그늘을 넘어-미국으로 건너간 한국인 군인 아내들 이야기(Beyond the Shadow of Camptown-Korean Military Brides in America)’를 펴낸 여지연 노스웨스턴대 교수는 “이 책은 혼혈이든 아니든, 한인이든 아니든, 모두가 읽어야 할 책”이라면서 “혼혈한인들의 다양한 경험과 목소리는 영혼을 치유하고 마음을 울리는 감동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6·25전쟁 이후 1989년까지 주한미군과 결혼해 미국으로 이주한 군인 아내는 9만명으로 추산된다. 특히 1962~68년에 미국으로 이민온 한국여성은 전체 이민자의 39.4%로 단일집단으로 최대 규모였다. 1970, 80년대에도 해마다 약 4,000명의 한국여성이 군인 아내로서 미국으로 이주한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미국 내 한인 인구는 혼혈을 포함해 182만 8,011명으로 공식 집계됐다(연방센서스 2017 아메리칸 지역사회 조사). 특히 이중 혼혈한인 인구는 36만7,628명으로 전체 한인 인구의 20.1%를 차지했다.
미국사회에서, 한국사회에서 한국인도 아닌, 미국인도 아닌 경계인으로 살아온 혼혈한인들의 이야기는 수많은 공감과 연대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LA, 워싱턴DC 지역에서도 ‘혼혈한인: 우리들의 이야기’ 출판기념회가 열린 바 있다.
▲일시: 4월 27일(토) 오후 1시-3시
▲장소: City College of SF, Chinatown Center(808 Kearny Street, SF)
▲문의: Cerrissa Kim (707)217-5160, CerrissaKim@gmail.com
<
신영주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