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양안 윤곽, 실업수당은 300달러로 축소
코로나19 팬데믹 사태 극복을 위한 추가 경기부양안에 2차 1,200달러 현금 지원과 중소업체들에 대한 추가 ‘급여보호 프로그램’(PPP) 시행 방안이 포함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또 오는 25일로 중단될 예정인 주당 600달러 연방 특별 실업수당은 기간이 연장되는 대신 액수는 절반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22일 의회 전문매체 ‘더힐’과 경제매체 ‘포브스’ 등에 따르면 연방 상원 공화당이 빠르면 이번 주내 추가 경기부양 법안 상정을 위한 구체화 작업에 한창인 가운데 이같은 방향으로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상원 법안을 주도하고 있는 미치 맥코넬 공화당 원내대표는 지난 21일 의원 모임을 가진 뒤 “공화당도 2차 현금 지급과 PPP 추가지원안이 포함되기를 바라고 있다”고 밝혔다.
아직 구체적인 숫자들은 나오지 않았지만, 공화·민주 양당 의원들은 1인당 1,200달러씩의 2차 현금 지급에는 대부분 동의하고 있고, 지급 대상 연소득을 1차 때보다 축소할 지 여부를 논의하고 있다고 포브스는 전했다.
또 PPP 연장과 관련해 맥코넬 원내대표는 “대부분의 중소 기업들이 조만간 1차 PPP 지원금을 소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2차 PPP 지원은 코로나19로 경제적 타격이 심한 업체들에 초점을 맞추게 될 것이며, 자격 기준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소 기업 및 스몰비즈니스들에 대한 2차 PPP 지원안은 민주·공화 양당이 모두 지지 의사를 밝히고 있는데 지급 대상 업체 기준은 1차 때보다 더 엄격해져 직원수 300명 이하로 줄어들 가능성이 있고 불법 혜택 차단을 위한 규제가 더 강화될 전망이다.
오는 25일로 종료되는 연방 특별 실업수당(FPUC)도 연장될 것으로 보이지만, 액수는 현재의 주당 600달러에서 축소될 가능성이 커보인다. 그간 공화당은 이를 주당 200달러로 줄여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반면, 민주당은 600달러를 계속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해 협상 과정에서 액수가 절반 수준인 300달러 내외로 조정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또 공화당의 2차 경기부양안에는 1,200달러 2차 현금 지급안과 추가 PPP 지원안 뿐 아니라 페이롤택스 감세, 코로나19 기간 학교 지원, 코로나19 진단 및 백신접종 예산지원안 등이 포함될 전망이다.
<
김상목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8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치매와 코로나 바이러스나 감기도 주장하는대로 다 비슷하쥬. 모르다가 걸리는게지용... 증상이 보인다 싶을때 검사를 받아야 가족이 힘들지 않아요. 다행히 치매는 옮기지 않아요. 하지만 가족이 똥받아주느라 힘들어지겠죠? 지금부터 기저기 차는 연습도 하시고 하세요. 증상이 보이네요. Are you OK?
엘에이 살지도 않고 노인회 근처에 갈 나이도 아니고 건강한데 왜 노인회를 가고 치매 검사를 해야하나? Are you okay?
원맨쇼하고 있으시네....한인 노인회에가서 코비드 예방차원으로 감기주사 맞으러 왔다 그러시면 알아서 치매 검사도 해줄겁니다...상태가 안좋아 보이는데 꼭가서 쳐맞으시고. 의사만나면 코비드때문에 사람들이 너무 민감해 한다.성병걸린사람도 많고 암으로 죽는사람이 더많다 그얘기도 해보시던가... 개소리도 너무 정성들여하시네
Pandemic 이라 뜻을 이해 못하시는것 같네요. 아무리 뜻을 굽히고 싶지 않으셔도 방심하기보단 모두 조심하고 예방 하자고 해야 옳은 말이 아닐까 싶네요.
예로 암과 기관지 질환은 어떻습니까? 성병은요? 몇백만명이 피해자들입니다. 그러면 이들에 대한 예방과 조처는? 끝이 없습니다. 여론에 속지 마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