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트로크 대회 1타당 상금 살펴보니
▶ 박민지 23.8만, 김주형은 24.4만원…PGA 상금왕 람은 1타당 1,384달러

올 한 해 최고의 시즌을 보낸 고진영. [로이터]
고진영(26)은 올해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에서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최종전인 CME그룹 투어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각종 타이틀을 싹쓸이하다시피 했다. 한국 선수 최초로 상금왕 3연패와 올해의 선수 두 차례 수상자가 됐고 한국 선수 LPGA 투어 통산 200승째 주인공도 됐다.
명예뿐 아니라 부도 함께 따라왔다. 시즌 상금으로만 350만2,161달러를 벌었다. 성적 등에 따른 각종 보너스까지 합치면 그 액수는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한 번 샷을 할 때마다 상금으로 얼마나 벌었을까. 고진영은 올해 19개 대회에 출전했다. 그중 타수를 계산하지 않는 뱅크오브호프 매치플레이를 빼면 18개의 스트로크플레이 대회에서 총 4,614타를 휘두른 끝에 348만 4,835달러를 벌었다. 1타당 755달러를 번 셈이다.
이런 식으로 스트로크플레이 대회만 계산하면 올해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에서 최초로 상금 ‘15억 시대’를 연 박민지(23)는 1타당 약 23만8,000원을 번 것으로 계산됐다. 박민지는 두산 매치플레이(우승)와 변형 스테이블포드 방식의 동부건설·한국토지신탁 챔피언십(공동 3위)을 제외한 23개 스트로크플레이 대회에서 5,273번의 샷을 했고 12억5,637만원을 벌었다.
한국프로골프(KPGA) 투어 상금왕 김주형(20)은 시즌 상금(7억5,493만 원)으로는 박민지(15억2,137만 원)의 절반 수준이지만 상대적으로 ‘고효율 샷’을 날렸다. 1타당 약 24만4,000원이었다. 1승과 준우승 3회 등 12개의 스트로크플레이 대회에서 여덟 차례 탑10에 이름을 올렸다.
전 세계에서 가장 상금 규모가 큰 미국프로골프(PGA) 투어에서는 2020~2021시즌 상금 1위 욘 람(스페인)이 1타당 1,384달러를 번 것으로 계산됐다. 이는 페덱스컵 보너스는 뺀 금액이다.
람의 1타당 상금액은 국내 남녀 상금 1위인 김주형과 박민지의 약 7배, LPGA 투어 상금 1위 고진영의 1.8배 수준이다. 한국 선수 중 22위로 상금 순위가 가장 높았던 임성재(23)의 2020~2021시즌 1타당 수익은 490달러였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