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리스도연합감리교회 신도들이 지난 21일 새벽 기도회를 마치고 영 스트릿과 킹 스트릿에 연한 인하공원을 방문해 노숙자들의 점거로 더렵혀진 공원 인근을 청소하고 있다.
비영리단체 파트너스인케어의 집계에 따르면, 올해 오아후 섬의 전체 무숙자 수는 2020년 대비 11% 감소했고, 무숙자 쉼터 인구는 24% 감소했다.
다만 쉼터 바깥의 길거리 무숙자 수는 0.4% 증가했다.
파트너스인케어 로라 딜런 이사는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기간 무숙자 주택 보급에 힘쓴 정부의 노력이 전반적인 무숙자 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분석했다.
2021년 호놀룰루 시 정부가 연방 기금 2억2,500만 달러를 들여 마련한 임대료 보조 및 구호 프로그램이 주효했고, 약 800명의 무숙자에 집을 제공하는 오아우 하우징 나우 같은 정책이 효과를 거두었다는 것이다.
딜런 이사는 또한 바이러스 감염 우려 때문에 쉼터 숫자와 쉼터 내 인구밀도가 줄어든 것도 무숙자 감소의 한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무숙자 집계는 지난 3월10일 실시되었다.
약 300명의 자원봉사자가 오아후 전역의 무숙자를 대상으로 지난 밤 어디서 밤을 보냈는지 묻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팬데믹 이전인 2020년 1월 집계 이후 2년 여 만의 조사였다.
2022년 3월9일 현재 오아후 무숙자 수는 3,951명으로 집계되었다.
이중 60%인 2,355명이 쉼터에서 잠을 잤고, 나머지 40%인 1,596명은 길거리에서 잠을 잔 것으로 나타났다.
길거리 무숙자 수의 증감 상황은 지역 별로 차이를 보였다.
다운타운/칼리히/누우아누 지역은 2020년 32%에서 올해 26%로 감소한 반면, 이스트 호놀룰루는 2020년 18%에서 올해 24%로 증가했다.
딜런 이사는 자율방범대 위드앤시드 운영 등, 차이나타운 무숙자 수 감소를 위한 시 정부의 노력이 다운타운 지역 전체 무숙자 수 감소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시 의회 토미 워터스 의장은 무숙자 수 감소 노력을 인정하면서도, 단순히 다른 지역으로의 이동에 의해 감소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무숙자들이 지역을 옮겨 다니며 길거리 생활을 이어가는 것이 아닌, 한 곳에 정착하여 살 수 있도록 노숙의 원인을 보다 근본적으로 다루는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