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서울 은평구 은평성모병원에서 김정은 피부과 교수가 원형탈모 증상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은평성모병원 제공]
원형탈모증은 오해가 많은 질환이다. 병명 때문에 단순히 하나 이상의 탈모반(머리카락이 빠진 부위가 둥근 점처럼 보이는 증상)이 생기는 병이라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탈모반이 없어도 원형탈모증일 수 있다. 귀 위쪽으로 광범위하게 머리카락이 빠지는 사행성탈모, 두피의 모발이 전부 빠지는 전두탈모, 두피 모발은 물론 눈썹·속눈썹 등 몸의 모든 모발이 빠지는 전신탈모 모두 원형탈모에 속한다.
증상에 따라 치료 효과도 다르다. 탈모반이 나타나는 전형적인 원형탈모는 그나마 치료가 수월한 편이다. 5일 서울 은평구 은평성모병원에서 만난 김정은 피부과 교수는 “전두탈모나 전신탈모는 외형적으로 더욱 도드라지는 데다 치료마저 어려워 환자를 상당히 위축되게 한다”고 말했다. 특히 전신탈모는 3~4세부터 증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김 교수는 또 다른 오해로 원형탈모에 대한 인식을 꼽았다. “원형탈모는 류마티스 관절염 같은 자가면역질환인데, 머리카락을 다시 심으면 해결되는 단순한 미용 질환으로 치부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그렇다 보니 증세가 어느 정도여야 중증인지 판단하는 중증진단기준조차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 그는 “원형탈모에 대한 잘못된 인식 탓에 환자들이 의료 정책에서 소외되는 측면이 있다”며 “중증 이상 환자에겐 건강보험 급여를 비롯한 정책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머리 감을 때 머리카락이 많이 빠지면 탈모일까요.하루에 머리카락이 50~60가닥 정도 빠지는 건 정상이에요. 다만 하루에 100가닥 이상 빠진다면 탈모를 의심해 봐야 합니다. 탈모는 종류도 다양해요. 크게는 흔히 대머리라 불리는 안드로겐성 탈모, 원형탈모, 휴지기 탈모 등이 있습니다.
-안드로겐성 탈모와 원형탈모는 어떻게 다릅니까.안드로겐성 탈모도 탈모반이 생긴 것처럼 정수리 부위가 휑해지는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원형탈모라 생각할 수 있지만, 둘은 원인부터 다릅니다. 안드로겐성 탈모는 나이가 들면서 모발이 얇아지는 탓에 휑하게 보이는 것이지만, 원형탈모는 몸의 면역세포가 털을 만드는 모낭세포를 공격해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이에요. 몸의 면역계가 털의 일부를 이물질로 인식하는 겁니다.
-원형탈모는 모발이식으로 치료가 안 되나요.모발을 이식해도 큰 효과가 없어요. 자가면역질환이기 때문에 금방 머리카락이 다시 빠져버립니다. 원형탈모가 생기는 원인은 복잡해요. 환자의 10~42%는 가족력이 있고, 소아 원형탈모 환자는 가족력과 연관성이 더 높습니다. 또한 환자의 20~30%는 심한 정신적 스트레스 이후 발생합니다. 원형탈모는 단순히 머리카락이 빠지는 데 그치지 않고 손톱·발톱 표면이 함몰되거나 거칠어지는 손톱·발톱 이상이 동반되거나, 아토피 피부염을 함께 겪는 경우도 많아요.
-치료는 어떻게 합니까.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탈모가 생긴 부위에 직접 약을 쓰는 겁니다. 면역세포가 모낭세포를 공격하는 것을 억제하는 스테로이드나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는 미녹시딜 성분의 약을 주로 써요. 스테로이드를 두피에 직접 주사하는 방법은 전신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적어 효과적이지만, 주사를 놓을 때 통증이 있어 탈모 면적이 넓은 환자나 소아에겐 적용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탈모 범위가 두피의 50% 이상이거나 주사 치료, 약물 도포로 효과가 불충분한 경우엔 면역억제제인 스테로이드, 사이클로스포린 성분의 먹는 약을 처방해요.
-원형탈모 치료약을 먹을 땐 뭘 주의해야 합니까.술을 마시지 말아야 하고 건강기능식품이나 한약을 피하는 게 좋아요. 면역억제제를 복용하는 중에는 감염에 취약해질 수 있기 때문에 손을 자주 씻고 마스크를 써서 위생 관리를 해야 합니다. 스테로이드를 처방받은 경우엔 입맛이 갑자기 좋아져 예전보다 밥과 간식을 많이 먹게 될 수 있어 섭취 칼로리를 조절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사이클로스포린은 혈압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는 게 좋고, 사이클로스포린을 복용할 때는 자몽 섭취를 자제해야 합니다. 사이클로스포린이 체내의 특정 효소를 통해 대사되는데, 자몽이 그 효소 작용을 억제하는 탓에 혈중 사이클로스포린 농도가 높아져 콩팥 손상을 불러올 수 있어요.
<
변태섭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