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화<동인 한의원장>
중년을 지나면서 많은 사람들이 팔을 높이 들거나 돌리 때에 어깨가 아프다고 호소하는 견비통은 예로부터 수명통(壽命痛)이나 장수병(長壽病)이라고 하여 40-50세의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견관절의 운동제한과 현저한 동통을 수반하는 질환으로 팔을 조금이라도 움직이고자 할 때 동통이 생기면서 야간의 자발통(自發痛)에 의한 수면부족으로 그 고통은 일상생활의 커다란 방해가 되기도 합니다.한의학의 임상서인 동의보감에는 견비통의 원인을 잘 기술하였는데, 肺와 心에 나쁜 기운(邪氣)이 있으면 그 氣가 양쪽 팔꿈치로 흐른다고 하였고, 손을 구부리고 펴지 못하는 것은 그 병증이 근육에 있는 것이요, 손을 펴고 구부리지 못하는 것은 그 병증이 골(骨)에 있는 것이니 그 원인이 근육에 있는지 골(骨)에 있는지 구분하여 치료하라고 하였습니다. 또한 음주를 많이 하는 사람은 목과 어깨에 열이 맑지 않아 쌓인 것이 오래되어 담(痰)을 만들어 통증을 유발한다
고 하였습니다.
한편 외부의 기후 조건인 풍(風), 한(寒), 습(濕)이 어깨에 침범하여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내부의 기혈(氣血)이 응체되어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며, 정신적인 측면에서는 칠정(七情)의 감정변화로 견비통이 생긴다고 하였습니다.
견비통의 다양한 증상을 살펴보면 급성증상으로 견관절에 열감과 종창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고, 팔을 올리고 회전할 때에 견관절에 동통이 생기는 것으로 손을 높이 들고자 할 때에 많은 장애가 따르게 됩니다.
또한 운동을 한 후에는 자발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고 특히 야간에 증상이 심한 경우가 있습니다. 상지를 일정범위 이상으로 운동하고자 할 때에 동통이 견관절 뿐만이 아니라 팔 아래로 통증이 널리 퍼져 내려가는 경우도 있으며, 견비통의 압통은 견관절 앞면에 현저하게 나타나기
도 합니다. 한편 내장질환에 의하여 체력이 쇠약한 경우로서 내장이나 기타의 수술 후에 체력이 감퇴하여 견비통을 유발하는 경우도 임상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견비통의 한방치료에는 우선 약물치료와 침구치료 그리고 부항요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우선 약물치료를 살펴보면 태음인 체질은 몸 안의 풍습담(風濕痰)이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풍과 습담을 제거하고 어혈을 풀어 줌으로써 근육과 관절의 통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소양인 체질은 신장의 기운을 강화시켜 보음(補陰)을 위주로 하여 근육과 관절의 영양을 보충해 주고 순환을 시켜 통증을 완화시키는 방법으로 치료를 하며, 소음인 체질은 찬 기운을 풀어주고 기혈(氣血)을 보(補)해줌으로써 어깨부위의 기혈을 순환시켜 통증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견비통의 針灸요법은 매우 우수하여 침구를 시술함과 동시에 동통이 완화되고 운동범위도
확대되는 현상은 다른 치료법으로서는 이를 따를 수 없는 침구치료만이 갖는 효과라고 할 수 있으므로 견비통에서는 침구치료가 대단히 유효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부항요법은 통증이 심하고 근육의 긴장부위나 단단하게 경직되어 있거나 압통이 있을 때는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방법의 하나로 흔히 사용되고 있지만, 기혈이 허약한 상태에서는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견비통의 예방과 치료법으로는 평소에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과로를 피하고 규칙적인 운동만이 최선의 방법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 718-321-7979.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