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아프리카 지역에서의 반(反)정부 시위 확산으로 버락 오바마 미국 행정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튀니지, 이집트에서 성공한 시민혁명 바람의 확산은 미국의 대(對)중동 정책의 틀을 흔들고 있고, 중동에서의 미국의 영향력 판도도 재편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일련의 최근 사태는 미국에는 도전이자 기회이다.
골칫덩어리인 이란에서의 민주화 운동은 반미 이슬람 체제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는 반면 바레인과 같은 동맹국의 정정 불안은 중동의 안정을 원하는 미국의 안보이익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미국의 대응은 엇갈린다.
중동 내 반미(反美) 교두보인 이란의 경우 미국 입장에서는 민주화 시위의 확산을 바라는 마음이 굴뚝같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도 지난 15일 이란 시위사태에 대한 첫 공식반응에서 "더 많은 자유와 더욱 대표성있는 정부를 향한 열망을 과감하게 드러낼 용기"를 언급하며 시위대가 불만을 표현할 자유를 허용할 것을 촉구했다.
반면 이집트 시위 사태 초기 때 보여준 미국의 고민과 딜레마는 바레인에서도 반복되고 있다.
시위대의 민주화 요구를 무시할 수도, 그렇다고 미국의 핵심 동맹국으로서 미국과 손을 맞잡아 왔던 정권의 퇴진을 요구할 수도 없는 골치아픈 상황이다.
뉴욕타임스(NYT)는 17일 미국이 중동지역에서 확산되고 있는 민주화 바람과 독재자에 의해 지탱돼 왔던 안정이라는 둘 사이에 끼여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사이에 낀 작은 섬나라인 바레인의 경우 미국이 해군 기지를 이 곳에 둘만큼 중동지역에서의 핵심 안보이익이 걸린 지역이다.
미 언론은 오바마 정부가 오랜 동맹자였던 호스니 무바라크의 퇴진을 진정으로 추진하지 않으면서도 시위대를 만족시키려는 어정쩡한 노력을 했던 이집트 사태 때와 같은 딜레마에 직면해 있다고 분석했다.
이 때문에 미국은 이란의 민주화 시위를 적극적으로 지지하며 체제전복 기대감을 드러낸 것과는 달리 바레인의 민주화 시위에는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이 16일 "민주주의로 가는 많은 길들"이 있으며 "자기만의 방법으로 자국만의 민주주의적 가치들을 실현하고 민주적 제도들을 갖추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한 것은 이를 반영한다.
카네기 국제평화재단 중동 프로그램 책임자 마르완 무아셰르는 "수십년간 미국은 (이 지역에서) 석유와 이스라엘 때문에 민주주의보다 안정을 우선시했다"면서 "이 같은 현 정책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바레인 사태가 당국의 시위대 강경진압 속에 유혈사태로 번지자 미국의 마음은 더욱 바빠졌다.
클린턴 장관은 17일 오전 바레인 외무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유혈사태에 대한 깊은 우려를 전달하면서 강경대응 자제를 촉구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에서 클린턴 장관과 만나 대책을 숙의했다. 클린턴 장관은 이어 국무부에서 조지아 외무장관과 회담한 뒤 다시 백악관을 방문,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 및 톰 도닐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회의를 갖는 등 분주한 하루를 보냈다.
(워싱턴=연합뉴스) 황재훈 특파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