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샌프란시스코서 70년전 시작된 전통
▶ 런던•뉴욕 거쳐 전세계로 확산돼
처음엔 돈 안되는 인기 없던 작품
SF 발레단이 성탄절 공연으로 대박
=====
크리스마스 시즌은 전세계 발레단의 대목이다. 세계 주요 발레단들이 이 즈음에 무대에 올리는 차이콥스키의 ‘호두까기 인형’에 가족 관객이 대거 몰리기 때문이다. "어떤 발레단이든 1월부터 11월까지는 돈 안 되는 발레를 하고 12월에는 호두까기 인형을 한다"는 얘기를 농담 반 진담 반으로 하기도 한다. 미국 주요 발레단의 매출 중 40∼50%가 호두까기 인형에서 나온다는 통계도 있다. 호두까기 인형이 처음부터 이렇게 인기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지금처럼 호두까기 인형이 최고의 인기 발레가 된 것은 70년 전 샌프란시스코에서 이뤄진 미국 초연이 계기가 됐다. 이 작품은 1892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마린스키 극장에서 마리우스 프티파와 레프 이바노프의 안무로 초연이 이뤄진 후 수십년간 발레로서는 그리 인기를 끌지 못했다. 음악은 훌륭하지만 줄거리에 통일성이 없고 유치하다는 혹평을 받았다.
이 탓에 일부 곡을 발췌해 연주회용 음악으로 만든 모음곡은 자주 연주됐지만, 발레 전체가 상연되는 사례는 드물었다. 러시아 외 지역에서 호두까기 인형 전막이 상연된 것은 1934년 영국 런던이 처음이었다. 다시 말해 러시아를 빼면 42년간 전막이 공연된 적이 없다는 얘기다.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발레와는 한참 거리가 멀었던 셈이다. 그러나 샌프란시스코 발레단이 1944년 크리스마스 이브에 이 도시의 전쟁기념 오페라하우스에서 윌리엄 크리스텐슨 예술감독의 안무로 호두까기 인형의 미국 초연을 했는데, 이 공연이 상상을 초월하는 대성공을 거둔 것이다.
당시 샌프란시스코 발레단은 1933년 샌프란시스코 오페라 발레단으로 출범해 1942년 오페라단에서 독립한지 몇 년 되지 않은 신생 단체였다.
그래서 공연장 배정에서 샌프란시스코 심포니와 샌프란시스코 오페라단에 늘 밀리는 설움을 당했고, 전쟁기념 오페라하우스가 텅텅 비는 공연 비성수기였던 크리스마스 시즌으로 날짜를 잡아야만 했다. 예산도 형편없이 부족했는데, 때마침 헐려 문을 닫은 근처 극장에 달려 있던 초대형 커튼을 헐값에 사들여서 의상으로 쓸 코트 143벌을 만들기도 했다.
이를 계기로 샌프란시스코 발레단은 크리스마스 시즌에 호두까기 인형을 공연하는 전통의 원조가 됐으며, 1949년부터는 이를 연례행사로 못박았다.
이런 풍습은 1952년 런던, 1954년 뉴욕 등에 퍼졌고, 1957년과 1958년에는 미국 CBS TV가 크리스마스 저녁 황금시간대에 조지 발란신이 안무를 맡은 뉴욕 시티 발레단의 호두까기 인형을 미국 전역에 방영해 ‘크리스마스에는 온 가족이 함께 호두까기 인형을 본다’는 관념을 심었다. 이어 1960∼1970년대에는 이 전통이 세계 전체로 퍼져 나가 지금은 사실상 모든 대도시에서 이를 볼 수 있다.
======줄거리======
호프만의 동화 “호두까기 인형과 생쥐왕”(1816)에서 탄생한 발레 ‘호두까기 인형’은 프랑스의 안무가 프티파와 작곡가 차이코프스키가 함께 만들었다.
1892년 초연됐지만 처절한 참패를 맛봤다. 그후 1930년대 후반 바실리 바이노네으이 재안무로 다시 탄생했다. 이후 안무가에 따라 작품이 조금씩 수정되면서 ‘그리가로비치 판’, ‘바이노넨 판’, ‘바리시니코프 판’ 등 다양한 버전의 발레 ‘호두까기 인형’이 공연되고 있다.
’호두까기 인형’은 평범하고 화목한 한 가정의 크리스마스 이브의 모습을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각기 선물을 받는 아이들중에서 어린소녀는 호두까기 인형을 선물 받는다. 그날 밤 소녀는 꿈에서 호두까기 인형과 그 밖의 인형들이 못된 생쥐대왕의 무리들과 싸움을 벌이는 모습은 본다. 그리고 소녀는 호두까지 인형을 구해주고, 왕자님으로 변한 호두까기 인형은 소녀와 결혼식을 올리게 된다.
꿈 속에서 악당 생쥐대마왕과 그 무리를 물리친 소녀는 호두까기 왕자와 여행을 떠나게 되고 그곳에서 결혼식도 하고 각국의 친구들도 만나게 된다. 이 와중에 다양하고 재치가 넘치는 재미있는 춤을 만나볼 수 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