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태 제7차 협상 돌입
▶ 상품·서비스 등 7개 분야 논의
▶ 한, 차·철강·가전 개방 기대
▶ 차 관세 40~64%서 20% 목표
▶ 태국, 목재·농수산물 요구
미국발 관세전쟁에 자동차·철강 등 한국 주요 수출산업의 부담이 가중되는 가운데 정부가 이르면 이달 태국과의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체결을 위한 협상을 타결하고 신 시장 개척에 속도를 낸다. 태국은 아세안 내 한국총생산(GDP) 2위의 경제 대국인 데다 향후 유망 시장으로 꼽히는 만큼 CEPA 체결 시 적지 않은 수출 증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2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부터 25일까지 나흘간 서울에서 ‘한·태국 CEPA 제7차 공식 협상’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CEPA는 자유무역협정(FTA)의 일환으로 앞서 양국은 지난해 7월 첫 협상에 나선 바 있다. 당시에는 경제동반자협정(EPA) 체결을 목표로 했으나 협상 과정에서 공급망·중소기업·관광·보건·노동·환경 등 폭넓은 논의가 이뤄졌음을 감안해 협정 명칭이 지난달 ‘포괄적 경제협력’의 의미를 담은 CEPA로 확대됐다.
양측은 이번 제7차 공식 협상에서 상품·서비스·투자·디지털·금융 등 총 7개 분야에서 논의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우리 측에서는 자동차·철강·가전 등 시장 개방을, 태국 측에서는 파티클보드(PB)·새우·망고 등 목재·농수산물 시장 개방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7년 한·아세안 FTA 발효로 태국으로 수출되는 다수 품목의 관세가 철폐됐지만 자동차·철강·가전 등 일부 품목들은 여전히 높은 관세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자동차 관세는 40~64%에 달해 사실상 수출 실적이 미미한 상황이다. 실제로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태국 자동차 수출액은 4,300만 달러(약 599억 원)로 전체 수출액(76억7,800만 달러)의 0.5%에 불과했다. 태국 전기승용차 시장에서 BYD·MG·네타·디팔 등 FTA를 통해 무관세를 적용받는 중국산 제품 비중이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정부는 단번에 중국만큼 자동차 관세율을 낮추지는 못하더라도 일본(20%) 수준까지 조정하는 것을 목표로 협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우리 정부는 이번 제7차 협상에서 양국 간 협상 타결을 목표로 한다는 방침이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협상이 어떻게 될지 예단하기는 어렵지만 일단 제7차에서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이후 공식 절차를 거쳐 협정이 조속히 발효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협상 타결 이후 산업부·외교부·법제처 등의 법률 검토, 국무회의 의결 및 양국 간 협정문 서명, 국회 비준 등 절차가 남아 있음을 고려하면 실제 발효까지는 최소 2~3년이 추가로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일부 산업계의 반발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태국은 한국 가구 제조에 쓰이는 PB 등 목재 상품의 한국 시장 개방을 요구하고 있는데 이미 관련 산업계는 태국산 PB 저가 유입으로 타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무역위원회는 올해 4월 태국산 PB의 덤핑 행위로 인한 한국 산업 피해를 인정하고 11.8~17.2%의 잠정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도 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농수산물의 경우에는 한국 소비자들의 선택권이 확대되고 한국에서 생산되지 않는 상품을 보다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재 태국은 우리나라의 18위 교역국이자 아세안 5위 교역국으로 양국 간 교역은 2019~2020년 코로나19 기간 감소했다가 2022년에 165억 달러(약 23조 원)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지난해 기준 태국의 명목 GDP는 5264억 달러(약 733조 원)로 인도네시아에 이어 아세안(싱가폴 제외)에서 두 번째로 높았다.
<
서울경제=조윤진·주재현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