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나는 가수다’를 보았다.
늘 여유 없이 산다는 핑계로 어느 특정한 프로그램 하나 변변히 못 보고 사는 이유를 줄줄이 대는 자신이 삭막해 보인다.
그런 사람들에게 주말 지나면 화자에 오르는 그 프로그램은 가수라는 직업 말고도 노래 한 곡에 혼을 담는 열정이 보여 더욱 관심을 끈다.
단 몇 분을 위해 고군분투하며 온 몸으로 영혼까지 울리는 퍼포먼스를 보면서 의기소침해지는 지금의 현실을 바꿔 보고픈 충동이 일기도 한다. 예술가들의 아름다운 생존경쟁을 보며 덩달아 흥이 오른다.
히트곡은 있으나 얼굴이 알려져 있지 않은 그들이 노래 한 곡으로 부활하며 세상에 다시 태어난다. 음지 속에 비치는 작은 빛은 세상을 향한 희망이고 진한 절규인데 그 막을 뚫고 구구절절 뱉어내는 노래 한 소절 한 소절이 가슴을 후벼 판다.
짧은 3~4분에 내 인생이 담겨 있고 그 무대 뒤엔 또 다른 경연이 기다린다.
노래 한 곡에 일주일을 자나 깨나 연습하고 자신을 쏟아 붓는다.
어느 하나에 혼신을 기울이는 모습은 곁에서 바라만 봐도 어깨에 힘이 솟는다.
긴 터널을 뚫고 세상에 나온 어느 가수의 노랫말 중에 “나도 세상에 나가고 싶어..그토록 오랫동안 움츠렸던 날개..하늘로 더 넓게 펼쳐 보이며..날고 싶어”가 계속 입가에 머물며 자연스레 반복된다.
그 노래를 들으며 이민 와서 열심히 살아도 쉽게 보장되지 않는 미래와 궁핍이 우리들의 가장을 힘들게 하고 두 날개를 접게 만들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느낌이 들었다.
이민생활은 어차피 내가 하고픈 일을 하며 사는 게 아니기에 앞만 보고 사는 지혜 밖에는 터득한 게 없다.
매 달 한 달씩 메워가며 사느라 어느 새 휘어진 허리 위에 지난 세월의 무게가 담긴다.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이 큰 변화 없이 진행되는 것에 감사해야 한다.
가장의 어깨 위에 놓여진 가족이란 부담은 자기 자신을 위한 선택을 늘 내일로 미뤄 놓는다. 섣불리 저지르는 모험에 온 가족의 운명이 좌우되기 때문이다.
그런 가장들이 주말이면 그 프로그램을 보고 작은 도전을 받는다. 이번 주엔 인순이가 ‘아버지’를 열창했다.
엄마에만 익숙한 우리에게 아버지라는 존재는 항상 가족을 든든하게 받쳐주는 우산인데 때론 큰 감사 없이 당연하게만 받아들인 경솔함이 없었는지를 새삼 깨닫게 했다.
비가 오나 바람 불거나 항상 그 자리에서 가족을 지키는 거목 같은 아버지를 회상하게 하며 아버지라는 이름을 다시 되새기게 된다.
일일이 표현하지 못하고 힘겨워도 가슴을 쓸어내리며 온 가족의 짐을 짊어진 아버지에게 늦게나마 존경을 표한다. 가슴을 울린 나레이션은 이렇게 시작한다.
“어릴 적 내가 보았던 아버지의 뒷모습은 세상에서 가장 커다란 산이었습니다. 지금 제 앞에 계신 아버지의 모습은 어느 새 야트막한 둔덕이 되었습니다. 부디 사랑한다는 말을 과거형으로 하지 마십시오...”
지금 현실적으로 힘들어 고개 숙인 모든 아버지에게 희망과 함께 소중한 가족 사랑을 일깨우는 이 노래를 감히 전해드리고 싶다. 가족은 세상의 그 어떤 성공보다 더 값진 선물이니까.
아버지의 숨겨진 고독이 파도처럼 밀려온다.
카니 정
콜드웰뱅키 베스트부동산(562)304-3993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