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름 나물 드실줄 아세요”이웃집 친구가 물었다. “아주 잘 먹어요” 했더니 다음날 힘들게 심고 가꾸어온 비름을 깨끗이 다듬고 데쳐서 한 움큼 가지고 왔다.
고향 냄새가 진한 비름에 된장과 마늘, 파와 들기름을 넣고 주물주물 무쳐서 양푼이에 담았다. 잡곡밥을 넣고 쓱쓱 비벼 오이소박이를 앞에 놓고 딸과 마주보며 “맛있다. 엄마 별미야” 주고받으며 한바탕 먹고 나니 배가 바람 든 풍선 같았다. 우리나라가 초라하고 서럽던 시절 많은 추억들을 담고 있는 비름은 각종 비타민과 특히 베타카로틴 오메가3가 많아 피를 맑게 하여 치매예방이 되고 해독작용을 하므로 관절염과 간을 건강하게 하며 나트륨을 배출 시킨다고 한다.
대한민국이 지지리도 가난하던 60여 년 전만해도 쑥, 냉이, 비름은 들과 야산에 많이 나던 들풀 이었고 서민들의 반찬이며 주린 배를 채워주던 만만한 보조식품이었다. 문득 박정희 대통령이 떠올랐다. “잘살아보세 우리도 한번 잘 살아보세” 라는 국민가요나 새마을 노래들을 부르며 대통령의 청렴하고 순수했던 영도력은 전 국민을 한뜻이 되게 만들었다. 국내에서 또는 해외에서 땀 흘리고 일하며 그 지긋지긋 하던 ‘보리 고개’ 라는 단어를 사라지게 한 그때는 나날이 근대화 되어가는 조국을 보며 꿈과 희망을 가지게 한 시절이었다.
도불습유(道不拾遺) 라는 사자성어가 있다. 백성이 배부르고 나라가 태평하면 길에 물건이 떨어져 있어도 주어가지 않는다는 뜻이 담겨있다. 배고픔에서 시작된 장발장의 기구한 운명처럼 지나친 가난은 각종 범죄로 이어질 수 있다. 음식물이 넘쳐나는 세상만을 보며 전쟁이 없는 편한 시대를 살아온 젊은이들이 배고픔이 어떤 것인지, 가난의 서러움이 무엇인지 느낄 수가 없다. 가난에 찌든 조상들을 보며 전쟁이란 환란을 겪으며 억세게 살아온 이 시대의 늙은이들을 만나면 통하는 이야기들이 무궁무진하다.
하지만 이제는 뒷방 늙은이가 되어 힘든 이민 생활하고 있는 자손들의 가정살림을 도와주며 불편한 몸이지만 한 평의 땅이라도 놀리기 아까운 듯 텃밭을 일구어 각종 채소를 재배한다.
만날 적마다 밝게 웃으며 서로의 안부를 묻고 틈틈이 가꾸어 온 먹거리들을 나눌줄 아는 소박한 친구들이 있어 낯선 나라 땅이 그리 외롭지 않아 행복감을 느낀다.
<
김영자 포토맥문학회>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