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괴력 낮아 상대적으로 사용 허들 낮아…자칫 전면 핵전쟁 우려
![[우크라 침공] “러, 궁지 몰리면 소형 핵무기 사용 우려” [우크라 침공] “러, 궁지 몰리면 소형 핵무기 사용 우려”](http://image.koreatimes.com/article/2022/03/22/20220322093729621.jpg)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로이터=사진제공]
우크라이나 침공을 지시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소형 핵무기 사용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21일 러시아가 제한적인 파괴력을 지닌 전술핵무기를 우크라이나에서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대규모 파괴를 초래하는 전략 핵무기가 주종이던 과거에는 공멸 우려 때문에 핵무기를 보유하고도 이것이 사용되는 상황을 생각하기가 쉽지 않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는 이유에서다.
러시아는 제2차 세계대전 말기인 1945년 일본 히로시마에 투하된 역사상 첫 핵폭탄보다도 오히려 위력이 약한 전술핵무기를 다수 개발해 보유하고 있다.
한스 크리스텐슨 미국과학자연맹(FAS) 핵정보 프로젝트 소장에 따르면 러시아가 보유한 전술 핵무기는 약 2천개로 추산된다. 미국이 유럽에 배치한 전술핵은 100개가량이다.
이런 무기는 상대적으로 약한 파괴력 덕분에 오히려 사용상 제한이 적은 편이다.
그런 까닭에 전문가들은 국제사회의 압박에 직면한 푸틴 대통령이 궁지에 몰릴 경우 그간의 금기를 깨고 핵무기 카드를 뽑아 들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독일 함부르크대와 카네기국제평화재단(CEIP)에서 활동하는 핵 전문가 울리히 쿤은 "(러시아의 핵무기 사용) 가능성은 작지만 커지고 있다"면서 "전쟁은 러시아에 좋게 흘러가지 않고 있고 서방의 압력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버락 오바마 전 미국 행정부에서 국가정보국장을 맡았던 제임스 클래퍼는 러시아의 핵무기 사용 기준이 미·소 냉전기보다 낮아졌다고 분석하면서 "러시아는 핵무기를 사용 가능한 실용적 수단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군사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재래식 전쟁에서 핵전쟁으로 전환함으로써 전투에서의 패배에도 전략적 우세를 차지하는 훈련을 오랫동안 해 왔다고 전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기 직전인 지난달 벨라루스와 러시아 동부 접경지에선 핵탄두 탑재 능력을 갖춘 러시아군의 이동식 이스칸데르-M 탄도 미사일이 배치된 모습이 포착됐다.
우크라이나 침공 나흘째인 지난달 27일에는 푸틴 대통령이 러시아군 핵무기 운용부대에 경계 태세 강화를 지시하기도 했다.
쿤은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서 핵무기를 쓰더라도 군부대나 주민이 없는 외딴곳에 떨어뜨려 서방과의 군사적 긴장 수위를 끌어올리는 등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설령 러시아가 경고 등의 의미로 전술핵을 사용하더라도 서방이 이에 대응하면서 순식간에 전면 핵전쟁으로 확대될 우려가 있다는 게 NYT의 지적이다.
그런 가운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3일 유럽 방문길에 오른다. NYT는 바이든 대통령과 유럽 정상들 간의 회담에서 러시아의 핵무기 사용 가능성과 관련한 대응책도 논의될 것으로 관측된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