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 주말 나는 어머니가 계신 양로원으로 향한다. 갈아입으실 옷과 음식 조금을 챙겨서 들고 간다.
내 어머니는 90 되시던 해. 심장에 밧데리를 끼우는 시술을 받으신 후 담당 간호사에게 양로원으로 가시겠다고 선언하셨다. 노인아파트에서 혼자 15년을 살아오시면서 단 한 번도 양로원을 언급하신 적이 없고 또 마켓을 다녀오시거나 웬만한 나들이는 혼자 해 오셨기 때문에 우리와 한 마디 상의도 없이 양로원행을 결정하신 것은 참 놀라웠다.
양로원이란 곳은 오래전 생소하고 어둡게 내 마음속에 들어왔다. 나하고는 아무상관이 없는 장소이며 살아생전 나하고 연관지어질 그 어떤 연결고리도 없을 곳이었다. 낡고 바삭거리는 노인들, 죽음으로 가는 행렬의 표를 받아들고 천천히 움직이는 무리들…. 그들이 순서를 기다리며 모여있는 장소가 양로원이 아니었던가. 그곳을 내 어머니가 가시겠다니….
까뮈의 ‘ 이방인 ‘의 주인공 뫼르소가 어머니의 임종 소식 연락을 받고 주소를 찾아 갔던 곳. 그 양로원이라는 장소는 내게 회색벽돌로 지어진 살아 숨쉬는 죽음의 장소로 느껴지는 소설 속의 무대였을 뿐이었다.
내 나이가 들어가면서 양로원이 그렇게 무서운 곳이 아니라는 자각은 생겼지만 그래도 나와는 전혀 상관없는 장소였다. 그렇게 생각했다. “정말 양로원으로 가시겠어요?”
효녀 소리는커녕 딸 노릇 제대로 해본 적이 없는 처지지만 내 어머니가 양로원에 가신다는 것은 생각도 못했던 터라 당황하고 뜨끔하여 말했다.“내가 양로원에 가면 나 편하고 그리고 너희들 편하다. 그러니 나 살던 아파트에 내가 쓰던 것 다 알아서 버리든지 필요한 것 있으면 갖던지 알아서 처리해라” 그렇게 들어가신 양로원 생활이 7년째가 되신다.
“내가 너무 오래 살고 있다. 내 맘대로 안되는 게 죽고 사는 일이지만 이제는 하나님이 그만 데리고 갔으면 좋겠다” 이따금 그런 푸념도 하시지만 자식에게 의지하기 싫어 길 건널 때조차 부축하는 팔을 뿌리치시는 분이시라 양로원 생활이 마냥 행복할리는 없으시련만 시간시간 시계를 체크하며 진행되는 프로그램을 규칙을 잘 따르는 학생처럼 충실하게 지키며 살고 계신다.
이제 엔돌핀이 샘솟는 기쁘고 신나는 일은 없는 모양이다. 높은 연세에 청력이 좀 약하실 뿐 성인병도 없고 정신이 명료하신데 그 옛날같이 함께 하하 웃고 수다 떨 일도 없다. 그냥 옷을 바꿔 입혀드리고 나면 창밖의 나무숲을 멀거니 바라보다 애써 대화를 풀면 두 세 마디에 오가는 말이 끊어져 버린다.
슬픔이나 기쁨, 가지고 싶고 먹고 싶은 것이 많아 보기에 주책스럽다 해도 그것이 건강한 삶인지도 모른다. 노쇠로 소멸해버린 감정은 연약해 보이는 육신만큼이나 메말라서 그날이 오기를 기다리는 일 이외에는 아무 소망이 없다.
혼자서는 화장실 출입처리도 못하고 물 한 그릇 떠 마실 수 없는 상태가 된 노인이 자식과 함께 살기를 고집하고 양로원이라면 펄쩍뛰는 분들도 많이 본다..자식들이 분명 힘들어하고 있을 것이다. 훗날 내가 그곳에 갈 때가 온다면 나는 내 어머니를 생각하고 용감하고 현명해져야 할 것이다.
“용감한 어머니….”
“너희들이 편해야 내가 편하다. 그러면 양로원에 가는 것이 좋겠다.”
아무리 육신이 노쇠해도 자식에 대한 배려와 사랑은 노쇠하지 않는 것일까.’
<
윤혜영 병원근무/티넥>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